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최승필의 돋보기] 일제잔재 청산, 정의로운 역사 만드는 초석
상태바
[최승필의 돋보기] 일제잔재 청산, 정의로운 역사 만드는 초석
  • 최승필기자
  • 승인 2020.01.21 14: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승필 지방부국장

1910년 일제강점기, 일제는 우리 고유의 정서와 의식을 말살하기 위해 창씨개명(創氏改名) 뿐 아니라 우리나라 고유의 지명을 일본식으로 바꾸는 이른바 창지개명(創地改名)을 추진했다.

효율적인 식민지 통치를 위해서는 행정구역의 재편이 필요했기 때문에 계획적인 지명 바꾸기를 서둘러 실시한 것이다.

일본은 우리나라의 용과 봉황이라는 말이 들어가는 것을 경계했다. 용과 봉황의 이름 자체의 기운을 받아 기세가 세질 우려가 높다는 구실로, 용과 봉황이 들어간 지명을 다른 용어로 바꾸거나 봉황을 닭 계(鷄) 자를 사용해 바꾸기도 했다.

실제로, 일본은 일제강점기에 식민 통치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1914년 ‘행정구역 폐합 정리’라는 명목 아래 대대적으로 행정구역을 개편하고, 우리나라 지명을 변경했다. 이 시기 전국 330여개 군이 220개 군으로 통합됐고, 경기도는 36개에서 20개 군으로 축소됐다.

최근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이 같은 일제잔재를 찾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경기도 등이 치욕이 서린 일제잔재 청산을 통한 역사 바로 세우기에 나섰다.

경기도가 도내 398개 읍·면·동을 대상으로, 일제강점기 당시 명칭 변경 여부를 조사한 결과 이 중 40%인 160곳이 당시 고유의 명칭을 잃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조사에서 한국학중앙연구원 동아시아역사연구소에서 2011년 발간한 ‘경기도 역사 지명사전(京畿道 歷史 地名事典)’에 수록된 읍·면·동의 지명 변천사를 분석대상으로 정의하고, 관련 정보를 범주형 자료로 처리한 후 계량적 분포를 살폈다고 한다.

그 결과 과거 지명이 현재까지 유지된 읍·면·동은 137곳(35%), 해방 전이나 해방 후를 포함해 지명이 변경된 읍·면·동은 228곳으로 분석됐다.

특히, 일제강점기 일제가 변경한 읍·면·동 지명은 160곳으로, 전체의 40%에 달했고, 그 외에 일제강점기 이전 또는 해방이후 행정구역 통합·분리 조정으로 변경된 읍·면·동은 68곳(17%)이었고, 33곳(8%)은 신규 행정구역이었다.

일제강점기에 일본이 경기도 전체 지명의 절반에 가까운 우리 고유의 읍·면·동 이름을 변경한 것이다.

유형별로는 두 지명에서 한 자씩 선택해 합친 ‘합성지명’이 121곳으로 가장 많았고, 대표적인 사례는 성남시 ‘서현동’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일제는 둔서촌, 양현리, 통로동 등을 병합하면서 한 글자씩 따 ‘서현동’으로 변경했다.

수원시 구운동, 성남시 분당동, 용인시 신갈동, 화성시 매송면 등도 두 곳 이상의 지명을 합성해 만든 지명이라고 한다.

일제가 식민 통치의 편리성을 위해 숫자나 방위, 위치 등을 사용해 변경한 사례도 29곳이나 됐다.

광주시 ‘중부면’과 연천군 ‘중면’이 이에 해당되는데, 광주시 중부면은 1914년 군내면과 세촌면을 통합하면서 방위에 따른 명칭인 중부면으로 개칭됐고, 연천군 중면은 연천읍치의 북쪽이었던 북면을 ‘연천군의 중앙에 위치한다’고 해 중면으로 개칭된 것이다.

일제가 기존 지명을 삭제한 후 한자화 한 지명은 3곳이며, 그 중 대표적인 부천시 ‘심곡동’의 경우 일제가 1914년 조선시대 고유지명인 먹적골, 벌말, 진말을 병합하면서, 심곡동(深谷洞)으로 변경했다. 심곡은 원래 토박이말로 ‘깊은 구지’라는 뜻이다.

지명을 변경하는 과정에서 우리의 향토정서가 왜곡된 사례도 있었다. 안성시 ‘일죽면’이 대표적으로, 일제는 1914년 죽산군을 폐지하며, 남일면과 남이면, 북일면, 북이면, 제촌면을 안성군의 죽일면으로 만들었으나, 듣기에 따라서는 욕이었기 때문에 죽일면은 결국 이듬해 ‘일죽면’으로 변경됐다고 한다.

이 외에도 현재는 문제없으나 일제 당시 일본식으로 개칭됐던 사례도 있었다. 일본이 시가지 지명에 일본 도시에 붙이는 ‘정(町, 마치)’을 붙였던 것으로, 수원시에 11곳이 있었다.

그 예로 조선시대 ‘고등촌’이었던 수원시 ‘고등동’은 1914년 고등리가 됐다가 1936년 일본식 명칭인 고등정(高等町)으로 개칭됐으며, 수원시 매교동, 매산동, 영화동, 우만동, 인계동, 지동 등도 모두 일제강점기에 ‘정(町 마치)’을 붙였었다.

경기도 뿐 아니라 전통문화의 거리로 유명한 서울 인사동의 경우 원래는 부근에 큰 절이 있어서 ‘절골’이나 ‘대사동’이라 불렸으나 일본이 근처 지명인 관인방의 ‘인’자와 대사동의 ‘사’자를 합쳐 ‘인사동’으로 바꿨다고 한다.

‘경기도 역사 지명사전’ 발간에 참여한 정치영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는 “우리 조상들은 골짜기를 가장 이상적인 마을의 입지로 생각서 마을 이름에 골짜기를 의미하는 ○○골, ○○곡(谷), ○○동(洞), ○○실 등을 많이 붙였으나, 이런 고유 지명들이 갈수록 사라지고 있다”며 앞으로 지명(地名) 행정에 우리의 역사지명이 연구·반영되길 희망했다.

경기도는 일제잔재 청산과 지역의 역사성·정체성 회복을 위해 31개 시·군과 긴밀히 협력. 사라지거나 왜곡된 우리의 고유 지명을 되찾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기로 했다.

현재 시·군을 대상으로 행정구역 명칭 변경 의사 여부를 수렴중인 가운데 향후 대상지가 확정되면 행정구역 명칭 변경을 통해 고유한 행정지명 복원 절차에 들어간다.

서울 중구청도 광복 후 정리됐어야 했는데도 여전히 서류상으로 살아 있는 ‘조선철도주식회사’와 ‘조선농공’ 등 일본법인 소유 부동산에 대한 직권말소 등 ‘일제 잔재 청산을 위한 일본법인 소유 추정 건축물대장 정비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해 3·1절 100주년 기념식에서 진정한 국민의 국가를 완성하는 새로운 100년을 다짐하면서 ‘너무나 오래 미뤄둔 숙제’로 ‘친일잔재 청산’을 강조했다.

대한민국 국민의 국가를 완성하는 길은 일제 통치기의 유산 청산을 통한 정의로운 역사를 만드는 일일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