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김연식 칼럼] ‘매화는 향기를 팔지 않는다’
상태바
[김연식 칼럼] ‘매화는 향기를 팔지 않는다’
  • 김연식 논설실장
  • 승인 2020.09.07 09: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연식 논설실장

조선 제6대 임금 단종은 비운의 왕이다. 세종의 장손으로 열두 살에 왕위에 올랐으나 3년여 동안 재위하고 삼촌인 수양대군에게 쫓겨 강원도 영월에서 생을 마감했다. 단종의 아버지 문종은 세종의 장남으로 왕위에 오른 지 2년4개월 만에 병사했다.

단종의 어머니인 현덕왕후는 단종을 낳은 지 이틀 만에 죽었다. 어린나이에 부모를 모두 잃고 왕위에 오른 단종은 권한은 있었지만 권력을 행사하지 못했다. 세종의 둘째 아들이며 숙부인 수양대군이 영의정을 맡아 권력을 행사했기 때문이다.

단종의 힘이 약해지자 간신들은 단종을 왕으로 모신 것이 아니라 권력자인 수양대군 앞에 줄을 섰다. 결국 단종은 영월로 유배되고 수양대군은 조선 제7대 왕인 세조에 올랐다. 세조의 아버지 세종대왕은 6명의 부인에 무려 18남4녀의 자녀를 두었고 장남이 문종, 차남이 세조이다. 참고로 세종의 아버지 태종은 12명의 부인과의 사이에 12남17녀의 자녀를 두었다.

단종은 당시 ‘어린 나이로 나랏일을 볼 수 없어 영의정인 수양대군에게 왕위를 양위한다’는 교시를 내리고 임금의 자리에서 물러나 상왕으로 앉았다. 이에 분개한 성삼문 박팽년 이개 하위지 유성원 유응부 등 사육신은 ‘하나의 태양 아래서 두 명의 왕을 섬길 수 없다’며 단종 북위를 시도하다 처참한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이를 병자사화라고 한다. 단종은 노산군으로 강등돼 영월로 귀양 후 사약을 받아 생을 마감하게 되지만 200여년 후 숙종은 그를 왕으로 복위시켜 단종으로 모셨다.

梅一生寒不賣香(매일생한불매향)이라는 말이 있다.
매화나무는 일생을 추위 속에서 지내지만 향기는 팔지 않는다는 뜻이다. 지조와 관련된 말로 조선 인조시대 학자 겸 문신인 상촌 심 흠 선생의 야언(野言)에 나오는 말이다.

사람의 속성은 권력을 가까이 하고 싶어 한다.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힘 있는 인사, 권력을 가진 사람의 곁에 있고 싶어 하고 실제 권력층을 향해 줄을 선다. 권력의 곁에 있어야 자신의 신분이 상승되는 대리만족을 느끼기 때문이다. 이들의 특징은 정의 공정 지조와는 상당한 거리가 있다. 오히려 권력을 이용해 자신의 실리는 챙기는 간사함이 앞선다.

권력자 앞에서 절대 복종하고 무조건 추종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뒤로는 자리와 명예를 위해 모략과 간사함을 드러낸다. 필요에 따라 권력자의 이름을 거명하며 친분을 내세우기도 한다. 사람들은 이러한 혀 놀림에 속아 각종 비위에 빠져들게 된다. 자칫 최고 권력자가 이들의 간사함에 빠져들어 헤어나지 못하면 지도력 상실로 그 조직은 수렁에 빠지게 된다. 우리는 이미 수많은 경험을 했고 상처도 가지고 있다.

권력은 다른 사람을 복종시키거나 지배할 수 있는 공인된 권리와 힘을 말한다. 그렇다고 사람을 굴복시키는 것은 아니다. 어떻게 보면 권위와 힘에 의해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포괄적 의미이다. 특히 정치권력은 국가와 같은 정치공동체를 지배하게 된다. 다른 사회단체나 시민단체에서 나타나는 권력에 비해 행사할 수 있는 범위가 상당히 크다.

그리고 법에 근거하여 강제적으로 행사할 수 있는 권력이기 때문에 최고 권력자의 영향력은 인사와 재정 사업 등 모든 분야에서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때문에 국민이 최고 통치자를 선출하고 있지만, 국민 스스로가 권력을 인정하고 자발적으로 복종하는 개념도 가지고 있다.

국가의 정치권력은 입법부인 국회, 사법부인 법원, 행정부인 정부가 각각 나누어서 맡고 있다. 국가의 중요한 일이 어느 한 기관에 집중된다면 권한 남용이 있을 수 있고 국민의 자유와 권리도 침해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삼권분립 원칙이 철저하게 지켜지고 있다.

우리나라처럼 대통령 중심제에서는 대통령의 권한이 막강해 삼권분립의 취지가 어긋나고 있다는 지적도 많다. 이에 따라 대통령의 권한을 분산시키고 대통령 중임제를 위한 개헌 논의가 끊이지 않고 있다. 여야가 권력분산을 위해 매번 선거 때마다 대통령의 권력 분산을 공약하지만 집권 후에는 깜깜이다. 권력을 잡으면 권력에 취해 내려놓기 싫은 인간의 속성인가?

간신이 있으면 충신도 있게 마련이다. 권력에 지나치게 아부하고 충성하는 사람은 세월이 변해도 항상 그렇게 살고 있다. 권력자가 바뀌어도 그 자리에서 권력을 행사하는 사람들이다. 본인의 생각과 가치는 사라지고 오로지 햇볕만 바라보는 해바라기 근성이다.

그렇게 권력에 취하다 보면 민생은 뒷전에 밀리게 마련이다. 마치 휴전선을 경계하는 군인이 적의 동향을 감시하는 것이 아니라 아군 순찰자의 움직임을 주시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권력은 그 자리에 있지만 권력을 행사하는 사람은 언제든지 바뀐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동천년로항장곡(桐千年老恒藏曲) 매일생한불매향(梅一生寒不賣香).
오동나무는 천년을 묵어도 곡조를 간직하고, 매화는 일생을 추위에서 보내지만 향기를 팔지 않는다. 정치를 생각하고 있는 정치 신인들은 정직한 정치, 정의로운 정치, 지조 있는 정치를 하길 바란다.

 

[전국매일신문] 김연식 논설실장
ys_kim@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