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경기도형 자치경찰모델 개발로 자치경찰제 대비해야”
상태바
“경기도형 자치경찰모델 개발로 자치경찰제 대비해야”
  • 최승필기자
  • 승인 2019.05.29 02: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기연구원, 제도 시행 대비 道 도입방안 연구 보고서 통해 주장
“추진전략 확보 필요”…오늘 경기도형 자치경찰 도입방향 토론회

<전국매일신문 최승필기자 > 정부가 최근 국가수사본부 신설 등 경찰개혁안을 확정한 가운데 경기도는 ‘경기도형 자치경찰모델’ 개발을 통해 2020년에 시범적으로 시행될 자치경찰제에 선도적으로 대비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기연구원은 28일 자치경찰제에 관한 이론과 국내·외 사례를 분석하고, 정부가 발표한 자치경찰제 도입안을 평가해 조직·인력·사무·재정의 4가지 영역에서 경기도의 도입방안을 제시한 ‘자치경찰제 시행 대비 경기도 도입방안 연구’ 보고서를 발표했다.


 전국의 경찰관 정원 총 11만7617명 중 자치경찰로의 이관인력은 총 4만3000명으로 추정되고 있는 가운데 총 경찰인력 대비 경기도 경찰인력 비율(19.1%)로 추정하면, 경기도의 자치경찰 이관인력은 8170명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인력규모로는 경기도 자치경찰이 제대로 정착될 수 없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자치경찰 이관인력에서는 경무기능(행정지원)과 정보통신(과학경찰)과 같은 지원인력이 아예 빠져있어 심각한 운영난이 예상될 뿐 아니라, 무엇보다 현재의 부족한 경찰인력을 그대로 자치경찰로 이관하기 때문에 인력 운영의 어려움이 예상된다.


 한편, 8170명의 경기도 자치경찰을 운영하는 데 필요한 예산은 연간 약 7555억 원으로 추정, 지원인력이 포함되지 않은 8170명에 대한 인건비 5719억 원, 주요사업비 1509억 원, 기본경비 327억 원 등이다.


 조성호 연구위원은 “경기도의 과태료(2016년 1181억 원)와 범칙금(2017년 309억 원)으로는 이를 충당하기 어렵기 때문에 자치경찰교부세의 신설 등 재원조달 방안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며 “특히, 국가와 도 간 재원분담은 자치경찰의 인건비 및 주요사업비는 국비로 하고, 기본경비는 도가 분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어 “경기도는 꾸준한 인구증가와 함께 행정수요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넓은 면적에 다양한 지역적 특성을 갖고 있어 치안수요도 다양하다”며 “경기도의 특성을 감안한 ‘경기도형 자치경찰모델’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자치경찰제 도입방안으로는 업무의 통일성과 지휘체계 일원화를 위해 1개의 경기도 경찰위원회 및 2개의 자치경찰본부 설치, 행정구역과 경찰서 관할구역 일치를 위해 자치경찰대는 최소 50개로 상향, 치안수요 대비 경찰관 1인당 담당 주민 수 등을 고려해 자치경찰 인력 규모 확대, 자치경찰교부세의 운영방법과 제도 설계 등을 제시했다.


 조 연구위원은 “향후 자치경찰제 도입에 따라 도민이 체감할 수 있고, 국가경찰의 역할과 자치경찰의 관계에서 혼란과 치안공백이 없어야 한다”며 “도는 ‘경기도형 자치경찰모델’ 개발을 통해 자치경찰제를 선도적으로 준비하고, 이에 따른 추진전략을 반드시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경기도는 정부 국정과제인 자치경찰제도의 단계적 시행에 대비, 경기도형 자치경찰 도입 기본방향 정립과 시스템의 조기 정착을 위해 29일 오후 2시 경기R&DB센터 1층 대교육장에서 ‘경기도형 자치경찰 도입 방향 토론회’를 개최한다.


 최승필기자 choi_sp@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