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방역시스템 원점서부터 꼼꼼하게
상태바
방역시스템 원점서부터 꼼꼼하게
  • .
  • 승인 2017.02.15 14:3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20년 전후로 구제역 백신공장을 설립한다고 14일 밝혔다. 국내에서 생산한 백신을 가축에 접종하는데 앞으로 3년은 더 걸리는 셈이다. 이에 따라 항상 일이 터진 후에 대책을 세우는 전형적인 한국 패턴이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된다. 농식품부는 이날 이 상임위 모두 업무보고에서 국산 백신 확보를 위한 제조시설 건립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농식품부는 올해 국산 백신 제조시설 설계 예산으로 17억원을 배정했다고 설명했다.


이번에 사상 처음으로 'O형'과 'A형' 등 두 가지 유형의 구제역 바이러스가 동시에 발생하고 일제 접종이 이뤄지는 상황에서 백신 재고량이 충분하지 않고 긴급 수입에도 차질이 빚어지면서 백신 국산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된 데 따른 것이다. 제조 공장 완공까지는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앞서 지난 2015년 12월말 구제역백신연구센터를 신설한 정부는 올해까지 백신 자체 생산 기술을 확립하고, 민간에 기술을 이전해 제조시설 건립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공장 설립 예산은 600억~700억으로 전망되며, 제조시설 완공 시점은 2020년 전후로 예상하고 있다고 농식품부는 밝혔다.


2010년 이후 처음으로 혈청형 'A형' 구제역이 올해 발생하면서 백신 물량이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농식품부는 국내에서 주로 발생하는 O형 구제역 위주로 대비해와 A형 구제역 백신은 미리 충분한 물량을 확보하지 않았다. 결국 전국의 소 283만 마리에 일제 접종을 하고자 A형과 0형에 모두 쓸 수 있는 'A+O'형 백신을 2월 말이나 3월 초에 수입할 예정이다. 그러나 이 물량이 들어오더라도 약 1천만 마리에 달하는 돼지는 대부분 접종을 하지 못한다. A형 구제역이 돼지로까지 퍼지면 다시 무방비 상태가 되는 셈이다. 구제역은 소뿐만 아니라 돼지, 염소, 양 등 발굽이 둘로 갈라지는 동물(우제류)에는 모두 전염될 수 있다. 정부는 추가 수입선을 알아보고 있지만, 아직 공급처를 찾지 못했다고 한다. 구제역 백신은 일반 공산품처럼 수요에 맞춰 바로 생산을 늘리기 어려운 품목이다. 바이러스 변종도 많아 적합성 분석이 필요한 만큼 실제 수입까지 걸리는 시간도 길 수밖에 없다. 구제역 백신의 국산화가 애초 논의된 이유다.


구제역은 2000년 이후에만 모두 여덟 차례 발생했다. 살처분 비용과 생계안정자금 등 이 기간에 들어간 혈세만 3조3127억원에 달한다. 특히 2010년 11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는 우제류 348만 마리가 살처분됐다. 이 사상 최악의 구제역 사태 와중에 정부는 백신 접종을 의무화했다. 소 50마리 이상을 기르는 농가는 비용의 50%를 정부에서 지원받아 직접 접종하고, 소규모 농가는 수의사가 무료로 접종하게 돼 있다. 접종 의무화 이후 3년간 사라졌던 구제역은 2014년 7월 23일 재발해 보름간 이어졌다. 또 같은 해 12월 발생한 구제역이 이듬해 4월까지 147일간 잡히지 않아 소와 돼지 17만3000마리가 살처분됐다. 작년 1∼3월에도 45일간 돼지 3만3000마리가 구제역으로 살처분됐다. 올해는 이달 6일 충북 보은의 한 농장에서 일부 젖소가 확진 판정받은 것을 시작으로 14일 현재 전국 9곳에서 감염사례가 확인됐다. 정부는 우선 구제역 확산을 막는 데에 힘을 쏟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복합형까지 등장한 이번 구제역 발생을 계기로 방역 정책에 문제점이 없는지 근본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 상당수 농장의 항체 형성률이 당국이 파악한 것보다 극히 낮게 나온 점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