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디지털 혁신 코리아 기술산업 DNA 강화
상태바
디지털 혁신 코리아 기술산업 DNA 강화
  • 서정익 기자
  • 승인 2019.08.21 15: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5G도 전략투자…플랫폼 조기 정착
산업생태계 전반 ‘혁신성장’ 견인
선도산업에 ‘시스템반도체’도 추가
1조 투입 ‘종합반도체 강국’ 도약

▲방기선 기획재정부 차관보(왼쪽 두 번째)가 2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혁신성장 확산·가속화를 위한 2020 전략투자 방향'을 발표하고 있다.
<전국매일신문 서정익 기자> 정부가 혁신성장 전략 투자 대상에 5세대 이동통신(5G)을 추가한다.


 또한 기존에 8개였던 선도산업 분야에는 시스템반도체를 추가해 종합 반도체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기틀을 다진다.


 정부는 21일 서울 여의도 수출입은행에서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22차 경제활력대책회의 겸 3차 혁신성장 전략회의’를 열어 이런 내용의 ‘혁신성장 확산·가속화 전략’을 논의했다.


 정부는 혁신성장을 위해 집중 투자하는 ‘3+1 전략투자 분야’를 플랫폼 중심으로 개편해 정교화하기로 했다.


 기존 ‘데이터·인공지능(AI)·수소경제+혁신인재’에서 ‘데이터·5G·AI+수소경제’로 개편한다.


 데이터(D)·5G 네트워크(N)·AI(A)로 구성되는 ‘DNA 플랫폼’ 기반으로 산업간 연결·융합을 촉진, 산업 생태계 전반의 혁신을 견인하겠다는 의지를 담았다.


 특히 새로 들어간 5G는 데이터 생산·유통·활용을 촉진해 혁신 서비스를 창출하고, 전 산업의 디지털 혁신을 이끄는 핵심 인프라라고 정부는 판단했다.


 5G 플랫폼 조기 정착을 위해 글로벌 선도기술 개발을 통해 세계 시장 선점을 노린다.


 데이터와 관련해 정부는 개인정보보호법·정보통신망법·신용정보법 개정을 계속 추진해 산업적인 활용을 뒷받침한다. 아울러 데이터 거래·클라우드 시장 활성화도 동시에 추진한다.


 기술·산업·인재가 파편화됐던 AI 분야는 국가 차원의 종합전략을 올해 하반기에 마련한다.


 기업에 AI 활용 바우처를 지급하는 등 AI를 더 많이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인재양성 강화, 일자리·윤리와 같은 미래 이슈를 포함한 ‘AI 국가전략’을 모색한다.


 정부는 자동차·헬스케어·에너지 산업 분야와 AI를 융합하는 연구개발(R&D)도 추진한다.


 민간의 도전적 AI 연구를 촉진해 딥러닝 등 현재 기술의 한계를 돌파하기 위한 ‘NEXT AI R&D’도 주요 추진 과제다.


 정부는 ‘협동로봇’ 보급을 위해 올해 하반기부터 설치 안전인증 체계를 개선한다. 협동로봇은 사람이 하는 업무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도와주는 스마트공장의 필수 요소다.


 정부는 이 밖에 수소경제가 조기에 정착할 수 있도록 이달 중으로 수소 기술개발 로드맵을 마련, 부처를 아우르는 대규모 R&D 사업을 기획한다.


 정부는 아울러 기존 8대 선도사업(스마트공장·산단, 미래차, 핀테크, 바이오헬스, 에너지, 스마트시티, 스마트팜, 드론)에 시스템반도체를 추가하고 분야별 성과 창출을 가속화한다.


 자율주행 셔틀과 같은 미래차 기반 융합서비스 실현을 위한 AI·센서 등 핵심 기술에 투자를 확대한다.


 에너지 신산업과 관련해서는 전력데이터 신서비스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유동인구정보·상권정보 등 다른 분야 데이터를 확보하고, 융합기술을 개발하며 플랫폼을 조성한다.


 스마트팜은 소프트웨어 투자 확대와 지능형 농기계 개발 지원을 통해 영농 생산성 향상과 산업 고도화를 꾀한다.


 스마트공장·산단은 AI 기반 제조혁신 로드맵을 수립해 제조 혁신을 지원한다. 상생형 스마트공장을 확대하고, 전국 19개 제조혁신센터에서 스마트공장을 ‘원스톱’ 지원한다.


 새로 추가된 시스템반도체는 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차세대 반도체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내년부터 약 1조원 규모로 자금을 투입, 종합 반도체 강국으로 도약할 기반을 마련한다.


 정부는 산업간 연결과 융복합 촉진을 위해 API(공개 응용프로그램 개발 환경) 개방을 내년부터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서정익기자 seo@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