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변화·혁신 없이는 존립 어렵다
상태바
변화·혁신 없이는 존립 어렵다
  • .
  • 승인 2019.10.14 14: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국매일신문 .>

강원도 철원군 비무장지대(DMZ) 남쪽 민간인 출입통제선(민통선) 안의 야생멧돼지 폐사체에서 이틀 연속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바이러스가 검출됐다. 전국을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 있는 야생 멧돼지를 통해 ASF 바이러스가 확산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12일 강원도 철원군 원남면 진현리 민통선 내 군부대에서 신고한 멧돼지 폐사체 2개에서 돼지열병 바이러스가 검출됐다고 밝혔다. 환경과학원 현장대응팀은 12일 오전 7시 30분께 민통선 내에서 멧돼지 폐사체를 발견했다는 신고를 받고 오전 8시께 현장으로 출동했다. 오전 9시께는 이 폐사체 주변에서 또 다른 멧돼지 폐사체가 발견됐다. 두 폐사체를 분석한 결과 모두 ASF 바이러스가 검출됐다.


이번을 포함해 ASF 바이러스가 검출된 멧돼지 개체는 총 5마리다. 환경부는 중국에서 돼지열병이 발생한 작년 8월 이후 야생 멧돼지에 대한 바이러스 검사를 하고 있다. 지난 2일 경기도 연천군 DMZ 멧돼지 폐사체에서 ASF 바이러스가 검출된 것이 국내 첫 사례다. 이어 지난 11일 연천군과 철원군의 DMZ 남쪽 민통선 안에서 발견된 야생 멧돼지 폐사체 2마리의 시료를 채취해 분석한 결과 ASF 바이러스 양성 반응이 나왔다. DMZ 남쪽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됐다는 점은 논란으로 이어질 수 있다. 정부는 ASF가 집중적으로 발생한 경기 파주와 김포, 연천 지역 내 모든 돼지를 수매 또는 살처분하는 특단의 조치로 확산 방지에 힘써왔다. 이는 우리나라 최대 돼지 주산지인 충남 지역과 강원도 지역 등 타지역 양돈 농가로 추가 확산을 막기 위한 고육지책이었다. 하지만 활동성이 강한 야생 멧돼지에서 ASF가 발병하면서 대응이 그만큼 어려워졌다. 앞서 국방부, 환경부 등 당국은 북한에서 돼지열병에 감염된 멧돼지의 남하 가능성에 대해 "우리측 남방 한계선 철책에 과학화 경계 시스템이 구축돼 DMZ 내 멧돼지 등의 남측 이동이 차단돼 있다"는 입장이었다. 이 설명대로 ASF에 감염된 멧돼지가 살아서 남쪽으로 넘어왔을 가능성은 크지 않을지 모른다. 그러나 DMZ 북한 구역에 방치된 감염 멧돼지 사체들이 ASF 바이러스 오염원일 가능성을 배제하면 안 된다. 새, 쥐, 파리, 고양이 등 야생동물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멧돼지 사체나 배설물을 접촉했을 때 바이러스를 옮길 수 있기 때문이다.


국방부는 뒤늦게 헬기를 동원해 DMZ와 민통선 이북 접경지역에 항공 방역을 했다. 북한에서 돼지열병이 확인된 것은 지난 5월 말이다. 북한 멧돼지나 다른 야생동물에 의한 ASF 확산 우려에 더 일찍,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했는데 그 가능성을 배제하거나 낮게 본 것은 성급한 판단이었다. 지금이라도 야생 멧돼지가 돼지열병을 옮기지 않도록 시급히 나서야 한다. 돼지 사육 농가만 대상으로 해서는 살처분과 같은 강력한 방역 대책을 실시하더라도 허사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야생 멧돼지의 ASF 감염을 방치하면 이 가축 질병이 토착화할 우려도 있다. 돼지열병이 집중적으로 발생한 경기도, 돼지 사육 규모가 큰 충청도, 강원도에서 야생 멧돼지 방역을 강화해야 한다. 멧돼지가 돼지 사육 농가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울타리를 보강하고, 집중 포획으로 멧돼지 개체 수를 줄여야 할 것이다. 국내 야생 멧돼지는 30만 마리 이상으로 추정되는 만큼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방역과 개체 수 감축이 필요하다. DMZ 철책 보강과 방역작업이 일회성으로 끝나서도 안 된다. 접경지역 ASF 발병은 북한에도 심각한 문제인 만큼 남북 방역 협력이 긴요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