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파워인터뷰 132] 홍선의 평택시의회 의장 "평택로컬푸드 다양한 변화 시도 거버넌스 구축 상생 생태계 조성"
상태바
[파워인터뷰 132] 홍선의 평택시의회 의장 "평택로컬푸드 다양한 변화 시도 거버넌스 구축 상생 생태계 조성"
  • 평택/ 김원복기자
  • 승인 2021.01.07 15: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상설 직거래장터 개장 등 협력체계 마련해야
농업인 지원 마련...먹거리 통합정보시스템 구축
로컬푸드정책 생산자·소비자 사이 거리 좁혀
로컬푸드재단 공식 출범...공정 먹거리 실현
홍선의 평택시의회 의장 [평택시의회 제공]
홍선의 평택시의회 의장 [평택시의회 제공]

[전국은 지금 - 파워인터뷰 132]
홍선의 경기 평택시의회 의장

2021년 신축년 새해를 맞아 홍선의 경기 평택시의회 의장을 만나 평택농업의 발전방향에 대해 심도있는 인터뷰를 가졌다.

인터뷰내내 홍 의장은 "시대에 따라 농업의 중요성이 변화되고 있지만 그 기본적인 생산토대는 변하지 않을 것"이라며 "미래 지구상에서도 가장 큰 시장을 형성하는 사업모델로 각광을 받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 지역농업의 발전방향은

시는 최근 유통과 신설, 평택시로컬푸드재단 설립, 평택로컬푸드종합센터 건립, 먹거리시민연대 결성, 프드플랜 연구용역 수행 등 먹거리정책에 대한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정책 이슈가 시민들에게 직접적으로 와 닿지는 않는 것이 현실이다. 시민들이 일상에서 변화를 체감할 수 있도록 몇 가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째, 시민들이 지역농산물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질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판매장을 확대해야 한다. 독립된 농산물 직매장뿐만 아니라 시 유휴공간을 활용한 상설 직거래장터 개장, 농산물꾸러미 정기구독서비스 추진, 샵인샵, 안테나샵 등 기존 판매장과의 협력체계가 마련돼야 한다.

둘째, 농업인에 대한 시의 새로운 정의가 필요한다. 현재 농촌에는 영세소농 뿐만 아니라 임차농, 농업노동자 등 다양한 형태의 농업인이 존재한다.

이들은 대부분 현재 농업정책 지원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들에 대한 정책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방안이 마련돼야 한다.

셋째, 먹거리 통합정보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현재 시에는 먹거리에 대한 정보가 통합적으로 관리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농장에서 식탁까지 평택 먹거리의 모든 정보가 하나의 플랫폼으로 연개될 수 있도록 푸드플랜 실행계획의 구체화가 필요하다.

● 평택로컬푸드 진행상황에 대해

평택로컬푸드정책은 2008년 시민들에게 믿을 수 있는 먹거리를 어떻게 제공할 수 있는가에 대한 고민에서 시작됐다. 그 당시 로컬푸드정책을 추진했던 다른 시군과 차이점이 있다면 지금의 먹거리기본권을 말하는 시민식량권 보장이라는 개념을 지방자치단체 정책에 도입했다는 것이다. 당시에는 획기적인 일이었다.

로컬푸드정책은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의 신뢰관계를 전제로 사회적 물리적 거리를 축소해 지속가능한 지역공동체를 만드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런 측면에서 올해는 평택로컬푸드정책의 재도약을 위한 큰 일들을 이뤄냈다고 생각한다. 10월 발족된 평택시먹거리시민연대는 시민사회에서 생산자단체와 소비자단체가 연대해 평택시와 협치의 장을 열었다는 데 의미를 두고 싶다. 아울러 시 푸드플랜 수립 연구용역을 통해 시민의 건강하고 공정한 먹거리 실현을 위한 시 여건에 맞는 먹거리 종합계획에 대한 큰 틀이 수립 됐다. 이제는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수립해야 할 때문이다.

● 푸드플랜을 어떤 관점에서 바라보고 있는지

시의 다양한 먹거리 관련 정책들을 살펴보면서 느슨하게 연결된 부분을 조이고 빠진 구멍을 메우는 작업을 해야 한다. 또한 푸드플랜은 농정부서만이 아니라 전 부서에서 관심을 가지고 추진할 수 있도록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코로나19로 인해 안전한 먹거리의 안정적인 공급을 통해 먹거리 공급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도 요구되고 있다. 시와 로컬푸드재단을 중심으로 먹거리시민연대 농협 등 생산자단체와 소비자단체의 협치를 통해 이런 시민들의 욕구를 충족시 수 있는 지속가능하고 따뜻한 정책이 마련될 수 있으리라 확신한다.

● 로컬푸드 재단에 기대하는 바는

지난해 6월 시 로컬푸드재단 설립 및 운영 조례 제정, 이후 8월 재단 임원 모집이 완료됐으며 11월에 창립총회와 발기인대회를 거쳐 12월에 정식 출범했다. 김준규 초대 재단 이사장은 평택 먹거리정책의 방향을 건강하고 깨끗하고 공정한 먹거리에 두고 있다고 밝혔다.

지역생산과 지역소비의 선순환정책은 21세기 대한민국의 푸드플랜과 로컬푸드정책의 보편적 기본방향이라는 것에 동의한다.

시는 향후 지속적인 인구증가의 도시화가 진행될 것이다. 현재 성공사례로 불리는 지역의 로컬푸드정책과 시의 정책이 달라야 하는 이유다.  앞으로 시로컬푸드재단이 그동안 추진해 왔던 시 로컬푸정책에 대한 냉정한 평가를 통해 시에 최적화된 새로운 정책을 개발하고 실행하기를 기대한다. 그 과정에서 로컬푸드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이야기를 결정하고 공감했으면 한다.

● 평택로컬푸드의 전망과 계획에 대해서는

로컬푸드는 정책이면서 운동이다. 운동은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촉발시킬 핵심가치가 있어야 한다. 농민이 인류의 생명창고를 그 손에 잡고 있고 이 변치 못할 생명창고의 열쇠는 지구상 어느 나라의 농민이 잡고 있을 것이라는 윤봉길 의사의 농민독본 한 구절은 지금 이 시점에도곰씹어야 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로컬푸드 정책이 지향하는 소비자는 공동생산자로서의 시민이다.

앞으로는 소비자와 생산자가 함께 손을 잡고 인류의 생명창고를 같이 지켜나가야 한다. 숫자가 말하는 농업의 비중은 낮아지겠지만 숫자가 말하지 못하는 농업의 중요성과 가치는 더욱 높아질 것이다. 먹거리종합계획에서 실행목표로 잡은 몇 가지 내용으로 전망과 기대를 대신하고자 한다. 균형 있는 먹거리 접근체계를 구축하고 생애주기별 맞춤형 먹거리를 보장하는 일은 건강한 도시를 위해 필수적인 과정이다. 참여와 협력의 먹거리 거버넌스 구축으로 도시에서 먹거리가 선 순환되고 생산자와 소비자가 상생하는 먹거리 생태계를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전국매일신문] 평택/ 김원복기자
kimwb@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