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부산시, 청렴 노력도·체감도 최상위권 유지
상태바
부산시, 청렴 노력도·체감도 최상위권 유지
  • 부산/이채열 기자
  • 승인 2023.12.28 15: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권익위 청렴도 평가 결과…전년과 동일한 2등급 달성
-공공건설부패 신고센터 개설, 대규모사업장 특정감사 등 개선 노력 집중
부산시는 국민권익위원회가 발표한 '2023년 공공기관 종합청렴도 평가'에서 청렴 체감도와 노력도에서 각각 2등급을 받았다.[부산시 제공]
부산시는 국민권익위원회가 발표한 '2023년 공공기관 종합청렴도 평가'에서 청렴 체감도와 노력도에서 각각 2등급을 받았다.[부산시 제공]

부산시가 국민권익위원회가 발표한 '2023년 공공기관 종합청렴도 평가'에서 청렴체감도와 노력도에서 각각 2등급을 받았다.

종합청렴도 측정은 국민권익위원회에서 매년 공공기관의 청렴수준과 부패현황을 진단하고 기관의 자발적인 반부패 독려와 청렴도를 제고하고자 시행하는 평가다.
 
시민과 직원의 설문결과로 매겨지는 청렴체감도는 전년과 동일한 2등급으로 시는 전년 평가결과에서 부패경험이 응답된 부서를 대상으로 ‘청렴컨설팅’을 실시하고 부패취약 분야에 대한 선제적 감사를 실시하는 등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시정 운영으로 체감도 향상에 노력했다.

또한, 1년 동안 기관의 반부패 추진실적을 평가하는 청렴노력도도 작년에 이어 상위권인 2등급에 안착해 부산시의 청렴 의지를 제도적, 정책적으로 잘 구현해 냈다는 평가를 받았다.
 
시는 대심도 토사유출, 오페라하우스 건설 지연 등 시정 핵심사업에 대한 문제가 시의회, 언론보도 등을 통해 지속 제기됨에 따라, 올해 부패집중 개선 분야로 ‘대규모 공공건설사업’을 선정했다.
 
또, 공공건설부패 신고센터 개설, 공사비 100억 원 이상 건설사업장(56곳) 대상 특정감사·감찰, 건설본부 사업담당자 사기진작 및 책임성 제고를 위한 인사상 인센티브 제도 마련 등 내실 있고 지속 가능한 청렴 시책을 발굴·시행했다.

하지만, 2018년에 발생한 ‘전임시장 공공기관 블랙리스트 사건’ 등 부패행위 사건 누적*에 따른 대폭 감점으로 아쉽게도 종합청렴도는 3등급에 머물렀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1년간 전직원이 반부패 청렴문화 확산에 매진해 청렴정책 추진에서는 높은 성적을 받았으나 전년도와 같이 평가기간보다 훨씬 이전에 발생한 부패행위 감점으로 종합청렴도에서 또다시 아쉬운 결과를 받았다”라며, “내년 종합청렴도 평가부터는 부패행위 감점이 최소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부패취약 분야 개선과 반부패 청렴 문화 확산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 청렴도 최상위기관으로 도약하는데 시정을 집중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