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가계빚 1년 만에 줄었다… 고금리·규제 등 영향
상태바
가계빚 1년 만에 줄었다… 고금리·규제 등 영향
  • 김지원 기자
  • 승인 2024.05.21 15: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분기 1천882.8조… 작년말보다 2.5조↓
가계대출 0.2조↓·카드 미결제액 2.3조↓
주담대 1천76조7천억 ‘사상 최대’ 기록
전분기보다 12조4천억↑…증가폭은 둔화
[연합뉴스]
[연합뉴스]

높은 금리와 부동산 거래 부진에 대출 수요가 위축된 데다 정책대출 상품 공급과 연초 카드 사용이 감소하면서 가계빚이 1년 만에 줄어들었다.

21일 한국은행의 '2024년 1분기 가계신용(잠정)' 통계에 따르면 3월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천882조8천억 원으로, 작년 4분기(12월 말·1천885조4천억 원)보다 0.1%(2조5천억 원) 줄었다. 

가계신용은 지난해 2분기(+8조2천억 원)·3분기(+17조 원)·4분기(+7조 원) 계속 늘었다가 결국 네 분기 만에 뒷걸음쳤다.

가계대출만 보면, 1분기 말 잔액이 1천767조 원으로 전 분기 말(1천767조3천억 원)보다 2천억 원 감소했다. 

이중 주택담보대출(잔액 1천76조7천억 원)은 12조4천억 원 늘었지만, 증가 폭이 작년 4분기(+15조2천억 원)보다 줄었다.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 대출(잔액 690조4천억 원)은 12조6천억 원 감소했다. 감소 폭도 전 분기(-9조7천억 원)보다 커졌다. 

대출 창구별로는 예금은행에서 가계대출이 3개월 사이 3조2천억 원 늘었다.

보험·증권·자산유동화회사 등 기타금융기관의 가계대출도 4조6천억 원 늘었다. 

상호금융·상호저축은행·신용협동조합 등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경우 같은 기간 가계대출 감소 폭이 5조8천억 원에서 8조 원으로 확대됐다.

서정석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가계신용 위축 배경에 대해 "주택거래량이 작년 말 이후 감소하면서 주택담보대출 증가 폭이 줄었고, 주택금융공사 모기지(담보대출) 상품이나 디딤돌·버팀목 등의 정책대출 공급도 전반적으로 축소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전국매일신문] 김지원기자
kjw9190@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