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500만 메가시티’ 대구·경북 통합논의 급물살
상태바
‘500만 메가시티’ 대구·경북 통합논의 급물살
  • 경북/ 신용대기자
  • 승인 2024.05.22 14: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구시-경북도, 국장급 실무회의
내달 초 4개 기관장 회동도 예정
기관별 TF 출범…통합방안 구체화
이철우(왼쪽) 경북도지사·홍준표 대구시장 [연합뉴스]
이철우(왼쪽) 경북도지사·홍준표 대구시장 [연합뉴스]

대구시와 경북도의 행정 통합 논의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

홍준표 대구시장과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통합에 공감한 가운데 22일 오후 대구시·경북도 정책기획관이 만나 실무 협의 일정과 참여 부서 등을 조율했다.

도는 기획조정실과 지방시대정책국, 자치행정과, 대변인실, 경북연구원이 실무 협의에 참석했다.

도 관계자는 "통합이 대구·경북만의 개별 사안이 아니라 국가 차원 지방 행정체계 개편과 연계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도에서는 지방시대정책국을 실무 협의에 포함했다"고 설명했다.

양 자치단체는 실무 협의에서 통합 내용과 일정, 방법 등을 논의해나갈 예정이다.

앞서 도는 전날 행정안전부를 방문해 시도 실무협의와 별도로 행정안전부와 지방시대위원회가 중앙 차원의 지원책과 계획, 로드맵 등 통합 관련 방향성을 제시해 달라고 요청했다.

조만간 태스크포스(TF)도 꾸려질 전망이다.

도는 대구시와 행정안전부, 지방시대위원회 4개 기관장 회동 이후에는 기관별 TF가 정식으로 출범할 전망이다.

4개 기관은 다음 달 초에 기관장들이 회동하는 방안을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4자 회동 이후에는 통합 관련 4개 기관이 모두 참여하는 사무국 등의 운영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도는 아직 구체적인 내용이나 로드맵을 마련하지 못했지만, 이철우 도지사는 올해 내 시도의회 의결과 내년 상반기 중 통합 관련 특별법 국회 통과, 2026년 지방선거 때 통합 단체장 선출을 제시했다.

도는 2019년 대구·경북 통합을 추진하면서 축적해놓은 연구 결과 등을 분석해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통합 관련 내용과 방법, 일정 등을 관계기관과 협의해 나갈 방침이다.

특히 특별법에 완전한 지방자치를 위한 권한과 인센티브, 절차 등을 담는 데 집중할 예정이다.

이철우 지사는 경찰, 소방, 교육, 이민, 환경, 산림 등 국방과 외교를 제외한 모든 권한과 재정을 지방에 이양하는 완전한 지방자치, 완전한 자치정부 모델을 지향하고 있다.

홍준표 시장은 직할시 개념을 부각해 행안부 지휘를 받지 않고 서울특별시와 같이 총리실로 지휘체계를 바꾸고, 인구 500만의 대구직할시로 만들면 한반도 제2의 도시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전국매일신문] 경북/ 신용대기자
shinyd@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