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속전속결’ 국제결혼, 맞선서 결혼식까지 평균 9일
상태바
‘속전속결’ 국제결혼, 맞선서 결혼식까지 평균 9일
  • 백인숙 기자
  • 승인 2024.05.23 17: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여가부 결혼중개업체 이용자·업체 조사 결과 발표
학력·소득 꾸준히 높아져··· 월400만 원 이상 최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결혼중개업체를 통한 결혼 시 현지 맞선에서부터 결혼식까지 평균 9일이 걸리며 국제결혼 이용자의 학력과 소득은 계속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가족부는 23일 한국사회학회와 한국갤럽조사연구소에 의뢰해 최근 3년간 결혼중개업체 이용자와 2022년 말 기준 등록 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심층 면접 방식으로 진행한 '2023년 결혼중개업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맞선부터 결혼식까지는 9.3일이 걸렸다. 2020년(5.7일)과 2017년(4.4일) 수치를 비교했을 때 6년 만에 2배 이상 길어진 것으로, 외국인 배우자를 선택할 때 좀 더 신중하게 판단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맞선부터 혼인신고까지 기간은 4.3개월(2020년)에서 4.8개월로 소폭 증가했고, 혼인신고부터 입국까지 기간 역시 3.8개월(2020년)에서 4.3개월로 증가했다.

이용자의 학력은 과반인 50.6%가 '대졸 이상'으로, 2020년 조사보다 6.8%p 증가했다. 외국인 배우자는 대졸 이상이 6.3%p 증가한 26.0%였다.

이용자의 월평균 소득은 300만원 이상이 63.9%로, 2014년(26.2%) 조사 이후 지속해서 증가세를 보였다. 

이용자의 연령은 40대 이상이 86.5%로, 2014년 첫 조사 이후 꾸준히 증가했다.

외국인 배우자의 경우 20대가 60.6%로, 2017년 조사 이후 감소하는 반면 30대 이상(39.4%)은 증가했다. 출신국별로는 베트남(80.0%), 캄보디아(11.9%), 우즈베키스탄(3.1%), 태국(2.9%) 등 순이다.

이용자는 주로 '온라인 광고'(47.4%)를 통해 업체를 알게 됐다고 응답했고, 외국인 배우자는 대개 '현지중개업 직원'(56.8%)을 통해 맞선 주선자를 알게 됐다고 응답했다.

업체 서비스에 만족한다고 답한 이용자는 61.4%로, 3년 전보다 7.5%p 증가했다.

이용자가 업체에 지불하는 중개수수료는 1천463만 원, 부대비용(입국 전 생활비, 예단비, 현지 혼인신고 비용 등)은 469만 원이었다.

여가부는 이용자의 과도한 비용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주요 국가별 중개료와 부대비용에 대한 평균, 중윗값, 상·하위 20% 평균값 등 현황을 분석해 제공하기로 했다.

여가부 관계자는 "결혼 중개 문화가 전반적으로 개선됐으나 불법 중개행위에 따른 일부 피해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며 "그간의 제도 개선에 이어 불법 중개 행위에 대한 예방과 단속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전국매일신문] 백인숙기자
insook@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