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고물가·고금리 여파에…중산층 5집중 1집 '적자 살림'
상태바
고물가·고금리 여파에…중산층 5집중 1집 '적자 살림'
  • 김지원 기자
  • 승인 2024.05.26 11: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4분위 적자 가구 비율 2.2%p 늘어 18.2%…3분위도 17.1%
고소득층인 5분위도 적자 가구 비율 증가…근로소득 감소 영향
고물가·고금리와 근로소득 감소가 맞물리면서 올해 1분기 중산층 가구 5집 중 1집 가량은 번 돈보다 쓴 돈이 많은 '적자 살림'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서울 세종로사거리 출근길 시민들. [연합뉴스 자료사진]
고물가·고금리와 근로소득 감소가 맞물리면서 올해 1분기 중산층 가구 5집 중 1집 가량은 번 돈보다 쓴 돈이 많은 '적자 살림'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서울 세종로사거리 출근길 시민들. [연합뉴스 자료사진]

고물가·고금리와 근로소득 감소가 맞물리면서 올해 1분기 중산층 가구 5집 중 1집 가량은 번 돈보다 쓴 돈이 많은 '적자 살림'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체 가구 중 적자 가구의 비율은 26.8%로, 1년 전(26.7%)과 비교하면 0.1%포인트(p) 소폭 증가했다.

적자 가구 비율은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소득에서 세금·사회보험료 등 비소비지출을 뺀 값) 보다 소비지출이 많은 가구의 비중이다.

소득 분위별로 보면 상위 20∼40%인 4분위 가구의 적자 가구 비율은 1년 전보다 2.2%p 증가해 18.2%가 됐다. 직전 분기인 4분기(14.8%)와 비교하면 3.4%p 늘었다.

소득 상위 40∼60%인 3분위 가구의 적자 가구 비율도 17.1%로 나타났다.

중산층 가구 5집 중 1집 가까이가 소비 여력보다 더 많은 돈을 쓰는 '적자 살림'을 했다는 의미다.

소득 상위 20% 이상인 5분위 가구 역시 적자 가구 비율이 1년 전보다 0.5%p 증가한 9.4%를 기록했다.

2분위의 적자 가구 비율도 1년 전보다 0.9%p 증가한 28.9%였다.

고물가·고금리와 근로소득 감소가 맞물리면서 올해 1분기 중산층 가구 5집 중 1집 가량은 번 돈보다 쓴 돈이 많은 '적자 살림'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서울 이마트 청계천점에서 장을 보는 시민. [연합뉴스 자료사진]
고물가·고금리와 근로소득 감소가 맞물리면서 올해 1분기 중산층 가구 5집 중 1집 가량은 번 돈보다 쓴 돈이 많은 '적자 살림'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서울 이마트 청계천점에서 장을 보는 시민. [연합뉴스 자료사진]

반면 1분위의 적자 가구 비율은 2.0%p 감소해 60.3%로 개선됐다.

중산층·고소득층 가구 '적자 살림 증가'의 배경에는 고금리·고물가의 장기화와 부진한 소득 증가가 있다.

높은 물가와 금리가 계속되면서 가계의 소비와 이자 비용 등 지출은 증가했지만, 소득이 이를 상쇄할 만큼 늘지 못하면서 적자가 확대된 것이다.

1분기 월평균 가계 소득은 1년 전보다 6만8천원(1.4%) 늘었지만, 가계지출은 9만9천원(2.5%) 증가했다. 이자 비용도 1만4천원(11.2%) 늘었다.

특히 근로소득은 1년 전보다 3만5천원(1.1%) 줄며 '역성장'했다. 이에 따라 근로자 가구 비중이 높은 중산층·고소득층 가구의 살림살이가 더 큰 타격을 입었다는 게 통계청의 분석이다.

1분기 3분위·4분위 가구의 지출은 각각 5.9%, 4.5% 늘었지만, 소득은 각각 5.4%, 2.7% 증가하는 데 그쳤다.

근로소득의 증가율은 3분위가 3.8%, 4분위가 0.7%로 부진했다. 삼성과 LG 등 대기업의 상여금이 감소하면서 고소득 가구인 5분위 가구의 근로소득은 4.0% 감소했다.

[전국매일신문] 김지원기자
kjw9190@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