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10대재벌 유동자산 250조 돌파
상태바
10대재벌 유동자산 250조 돌파
  • 서정익기자
  • 승인 2014.06.10 06: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재벌그룹 곳간에 돈이 계속 쌓여 10대재벌 유동자산이 250조를 돌파했다. 정부가 내수경기 활성화를 위해 투자 조기집행과 고용 확대를 주문하고 있어 재벌그룹들이 곳간을 풀지 주목된다. 9일 금융감독원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재벌 총수가 있는 자산 규모 10대 재벌그룹 81개 제조업 상장사(12월 결산법인)의 유동자산은 250조 7667억 원으로 250조 원 선을 넘었다. 이 수치는 2011년 말 219조 1899억 원에서 2012년 말 228조 3656억 원에 이어 지난해 말 250조 원 선으로 급증했다. 유동자산은 1년 이내에 환금할 수 있는 자산으로 현금, 예금, 일시 소유의 유가증권, 상품, 제품, 원재료, 저장품, 전도금 등이 해당한다. 그룹별로 삼성, 현대자동차, 현대중공업, 롯데, 한진 등 5곳은 유동자산이 증가했지만 LG, SK, GS, 두산, 한화 등 5곳은 줄어 대조를 이뤘다. 삼성그룹의 유동자산은 지난해 말 현재 90조 7004억 원으로 2년 전보다 35.2% 늘었다. 특히 주력 상장사인 삼성전자의 유동자산은 2011년 말 39조 4963억 원에서 지난해 말 60조 6037억 원으로 53.4% 증가했다.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말 유동자산이 59조 4852억 원으로 2년 전보다 17.0% 늘었고 같은 기간에 현대중공업그룹(17조 7884억 원)은 19.7% 증가했다. 또 롯데그룹(9조 1404억 원)이 9.7% 늘었고 한진그룹(5조 4255억 원)은 0.4% 늘어 제자리걸음을 했다. 반면 두산그룹은 유동자산이 2011년 말 11조 765억 원에서 지난해 말 8조 4625억 원으로 23.6% 줄었고 한화그룹(2조 7302억 원)은 8.8%, SK그룹(18조 2424억 원)은6.2% 감소했다. GS그룹(9조 7764억 원)은 1.5% 줄었고 LG그룹(29조 153억 원)은 0.7% 감소한 수준이다. 그룹별로 영업 환경에 따라 사정은 다소 다르지만 경제 규모가 커지면서 재벌그룹들이 활용할 수 있는 유동자산은 점차 증가하는 모습이다. 그러나 세계 금융위기와 유럽발 재정위기를 겪으며 미래 불확실성에 대한 불안감을 쉽게 떨쳐버리지 못해 공격적인 투자를 주저하는 것으로 보인다. 금융시장이 요동치면 언제든지 다시 자금경색을 겪을 수 있다. 정부가 최근 30대 재벌그룹 사장단에 세월호 참사 이후 침체된 내수 경기를 활성화하기 위해 투자를 조기 집행하고 고용을 확대해 달라고 요청함에 따라 대기업들의 대응에 시선이 쏠리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