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북핵대응 무엇이 최선인지 판단해야
상태바
북핵대응 무엇이 최선인지 판단해야
  • .
  • 승인 2016.09.12 15: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북한의 5차 핵실험을 계기로 한국도 자체 핵무장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정치권을 중심으로 북한의 핵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수단은 핵무기밖에 없다는 '핵무장 불가피론'이 제기되고 있고, 민간 전문가 그룹 내에서도 북한 비핵화는 현실성이 없고 자체 핵무장으로 북한의 핵무기를 무력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핵무장론을 둘러싼 논란의 진원지는 집권 여당인 새누리당이다. 새누리당 이정현 대표는 용산 전쟁기념관을 방문해 기자들과 만나 "북한의 핵이나 미사일 개발처럼 무모한 도발 시도에 대해서는 지금보다 훨씬 더 강도 높은 조치들을 정치권과 정부가 함께 강구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그것이 무엇이냐에 대해서는 (여러 견해가) 제기되고 있지만, 이런저런 논란 때문에 사실 항상 예외로 했다"면서 "이제는 그러한 문제들에 대해서도 과감하게 논의의 테이블에 얹어야 하고, 그것만이 우리를 스스로 지켜낼 것"이라고 설명했다. 핵무장론의 전도사를 자처하는 새누리당 원유철 의원은 12일 자신이 주도하는 '북핵 해결을 위한 새누리당 의원 모임(약칭 핵포럼)' 긴급 간담회를 개최했다. 원 전 원내대표는 "단기적으로는 미국의 전술핵을 재배치해 북한과 '공포의 균형'을 이루고, 장기적으로는 독자적인 핵무기를 최소한 북한의 2배 이상 규모로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북한의 핵무장은 이제 막을 수 없는 단계까지 왔다는 게 전문가들의 일반적인 평가다. 더욱이 북한의 행태로 봐서 스스로 핵무기 포기를 기대할 순 없다. 북한 외무성 대변인은 11일 '담화'를 통해 "미국의 가증되는 핵전쟁 위협으로부터 우리의 존엄과 생존권을 보위하고 진정한 평화를 수호하기 위한 국가 핵 무력의 질량적 강화조치는 계속될 것"이라고 거듭 주장했다. 북한의 5차 핵실험으로 핵미사일 실전 배치가 임박한 만큼 무엇보다 그간의 방어적 북핵 정책을 공세적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일각에선 핵무장을 해 북한의 핵무기 사용을 억지하는 '공포의 균형'을 이뤄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온다. 이 시점에서 핵우산 제공을 포함한 한반도에 대한 미국의 '확장억제' 공약을 한미동맹 차원에서 구체화하는 조치가 시급해 보인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북한의 5차 핵실험 후 강력한 확장억제력 제공을 거듭 약속했다. 북한은 유사시 미군의 한반도 증원을 무력화시키기 위해 주일 미군기지와 괌 기지까지 도달할 수 있는 노동과 무수단 미사일 시험발사에 성공한 바 있다. 이에 대응해 미국의 확장억제 전략자산을 한반도에 신속히 전개해 북한의 도발을 초전에 궤멸시키는 방안이 양국 간에 세부적으로 논의돼야 할 것이다. 아울러 1992년 발효된 '한반도 비핵화 공동선언'으로 모두 철수한 미군의 전술핵을 일시 재배치하자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우리 군 당국이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에 대응해 구축 중인 '킬체인'과 한국형 미사일방어체계(KAMD)가 일러야 2020년대 초나 돼야 완비되기 때문이다.
유엔 안보리 차원에서 논의 중인 대북 추가제재는 기존 제재의 '구멍'을 확실히 메워야 한다. 올 1월 초 북한의 4차 핵실험에 대응한 안보리 결의 2270호는 '비군사적 수단을 이용한 제재로는 사상 최강'이라고 했지만, 김정은 정권의 핵 폭주를 막는 데는 역부족이었다. 이번에도 중국이 북한 정권을 위태롭게 할 정도의 실질적인 제재 수준에 동의할지가 제재 성패의 중요 변수다. 중국은 국제사회의 대국답게 안보리 결의를 완전히 이행하는 책임을 다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최근 남중국해 분쟁과 한반도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등으로 미국과 대립해온 중국이 북한으로 가는 송유관 밸브를 닫아 김정은 정권의 명줄을 죌 것으로 보는 이들은 없을 것이다. 중국의 '선의'에 기대지 말고 우리의 외교력과 협상력으로 중국을 설득하고 견인하는 수밖에 없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