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고용 한파' 취업자 증가폭 6년만에 최저
상태바
'고용 한파' 취업자 증가폭 6년만에 최저
  • 김윤미기자
  • 승인 2016.11.08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취업자 증가 폭이 6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특히 조선에 이어 전자·IT업종도 고용시장에 찬바람이 불어 우려를 키우고 있다.
 7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10월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10월 상시근로자 고용보험 피보험자(취업자) 수는 1265만 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9만 2000명(2.4%) 증가했다.
 취업자 수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증가 폭은 지난 2010년 9월(27만 2000명)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취업자 증가율은 업종별로 차이가 컸다.
 증가율이 높은 업종들은 서비스업이 차지했다. 대표적인 저임금 업종인 숙박·음식업의 증가율이 12.0%에 달했고 이어 예술·스포츠·여가 관련 서비스업(5.7%),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5.4%) 순이었다.
 공공행정·국방은 -1.8%로 감소세를 나타냈으며 모든 업종 중 임금이 가장 높은 금융보험업의 증가율(0.1%)도 매우 낮았다.
 전체 업종 중 고용규모가 가장 큰 제조업은 증가율이 0.2%에 그쳤다. 제조업 취업자 증가 폭은 6000명에 그쳐 8월(9000명), 9월(7000명)에 이어 석 달 연속 증가 폭이 1만 명을 밑돌았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지난 2009년 10월(-7700명) 이후 7년 만에 최저 수준의 취업자 증가 폭이다.
 고용 악화를 주도한 것은 구조조정 태풍이 몰아치는 조선업이었다.
 선박, 철도, 항공장비 등을 제조하는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은 지난해 말까지 고용이 늘었다. 그러나 선박 수주 급감 등 경기 악화로 올해 들어 감소세로 전환했다.
 더구나 지난 6월 1만 2000명이었던 지난해 동기 대비 취업자 감소 폭은 8월 2만 2000명, 9월 2만 4000명, 10월 2만 5000명으로 3분기 이후 크게 늘어 ‘실업대란’이 현실화하고 있다.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의 지난해 말 고용규모는 21만 명에 달했으나 지난 9월에는 18만 3000명까지 줄어 고용규모가 10% 이상 급감했다.
 제조업 고용의 14.5%를 차지해 고용규모가 가장 큰 ‘전자부품·컴퓨터·통신장비’도 10월 취업자 수가 1만 5000명이나 감소했다. 2013년 9월 고용규모가 57만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계속 줄어 올해 9월 고용규모는 51만 8000명에 그쳤다.
 이는 중국과의 가격 경쟁을 견디다 못해 국내 전자업체들이 휴대전화, LCD 등 생산기지를 해외로 속속 이전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철강 등 ‘1차 금속산업’은 중국의 저가 철강재 수출 등으로 2013년 하반기부터 고용이 크게 줄다가 지난해 중반 이후 안정되는 모습이다. 다만 고용 감소세는 이어져 10월에도 고용규모가 2300명 감소했다.
 다만 1인 가구 증가로 간편식 매출이 늘어난데다, 한류 영향으로 수출도 호조를 보이는 식료품제조업의 취업자 수는 1만 2000명 늘어 25만 4000명에 달했다.
 중국 내에서 한국 제품이 큰 인기를 끌면서 수출이 폭발적으로 늘고 있는 화장품이 포함된 화학제품제조업도 취업자 수가 1만 명 늘었다. 고용규모는 22만 9000명이다.
 해운업 불황으로 수상운송업 취업자는 지난 2013년 초부터 지속해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에 저가항공 활성화 등으로 항공운송업 취업자는 증가폭이 커지는 모습이다.
 사업장 규모별로는 300인 미만 중소기업 취업자가 921만 6000명으로 25만 4천명(2.8%) 증가했다. 특히 29인 이하 중소기업에서 21만 8000명 늘어 전체 취업자 증가분의 74.7%를 차지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