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北 'N L L 사격훈련' 서해 5도 주민대피
상태바
北 'N L L 사격훈련' 서해 5도 주민대피
  • 인천/ 맹창수기자
  • 승인 2014.04.01 07: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북한이 31일 낮 서해 북방한계선(NLL) 인근 해상에서 사격훈련을 실시한 가운데 연평도와 백령도 등 서해 5도 주민과 학생들은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인근 대피소로 긴급히 이동했다. 31일 인천시 옹진군에 따르면 해병대 백령·연평부대는 북한의 해상사격 훈련이 시작되자 이날 12시 40분께 안내방송을 내보내 주민들을 대피소로 이동시켰다. 이날 오후 1시 30분 현재 주민 대부분은 해병대원과 면사무소 직원들의 통제에 따라 집 주변 대피소로 이동했으며 옹진군은 대피 인원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있다. 현재까지 파악된 대피 인원은 백령도 1000명, 대청도 790명, 연평 362명, 소청 86명이다. 옹진군의 한 관계자는 "아직 대피소로 이동하지 못한 주민도 있어 정확한 대피 인원은 시간이 좀 더 지나야 집계된다"고 말했다. 서해 5도 지역 학생 500여 명도 교사들의 안내에 따라 학교 내·외부 대피소로 이동했다. 김병문 연평 초중고교 교장은 "대피방송이 나오자 학생들이 비교적 차분하게 대피소로 이동했다"며 "오늘 아침 북한이 해안포를 쏠 경우 대피해야 한다는 사전 방송이 있어서 그런지 놀라는 학생은 없었다"고 말했다. 서해 5도 지역의 초중고교는 이날 비상 상황이 종료되는 대로 방과후 학교 등 나머지 수업은 하지 않고 학생들을 귀가 조치할 예정이다. 앞서 해군과 해경은 이날 오전 10시께 서해 상에서 조업 중인 어선에 복귀 명령을 내렸다. 이날 이른 오전부터 대·소청도 20척, 백령도 16척, 연평도 7척 등 서해 5도 일대 어장에 총 43척의 어선이 출항했다. 서해 5도 어선들은 우리 군의 복귀 명령에 따라 각 도서 항구로 되돌아 오거나 인근 항구로 피항했다. 백령도와 연평도 행 여객선 운항도 차질을 빚었다. 이날 오전 8시 50분께 인천연안여객터미널을 출발한 백령도행 여객선 하모니플라워호(2071t급)는 북한의 사격 훈련이 시작된 직후인 12시 30분께 대청도에 비상 정박했다. 이 여객선은 인천을 출발해 소청도와 대청도를 거쳐 백령도에 낮 12시 50분께 도착할 예정이었다. 당시 승객 367명 가운데 소청도에서 먼저 내린 16명을 제외한 승객 351명은 여객선에서 내려 대청도 내 대피소로 긴급히 이동했다. 인천에서 이날 오후 1시께 출항할 예정이었던 연평도행 여객선 플라잉카페리호(500t급)의 운항은 전면 통제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