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원주기업도시 열병합발전소 건립... 주민 반발 심화
상태바
원주기업도시 열병합발전소 건립... 주민 반발 심화
  • 원주/ 안종률기자
  • 승인 2014.04.04 03: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강원 원주기업도시 대규모 열병합발전소에 대해 다이옥신^카드뮴 등의 환경오염을 우려하는 주민들이 공동대책위를 구성해 건립 철회를 주장하는 등 반발하고 있다. 이들은 열병합발전소 저지에 실력행사도 불사하겠다는 강경한 자세를 보이며 지방선거 출마자 가운데 찬성하는 후보에 대한 낙선운동 계획도 밝혀 6^4 지방선거 쟁점으로 등장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원주기업도시 인근 지정면과 호저면 지역의 주민들은 3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고형연료(RDF) 열병합발전소 건설 반대를 위한 원주지역 공동 대책위원회’(위원장 송태빈) 결성 회견 “기업도시 내 열병합발전소는 폐기물 RDF에 대한 건강^환경적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또 “다이옥신 등 환경호르몬 발생과 카드뮴 등 중금속으로 인해 시민의 생명을 위협할 가능성이 커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고 주장했다. 대책위는 또 “미국 등에서는 우리나라보다 더 엄격한 기준치를 적용했음에도 불구하고 피해가 발생했으며 국내에서도 주민반대로 건립이 취소된 사례가 있는 만큼 건립 철회가 이뤄지지 않으면 실력행사에 돌입하겠다”고 밝혔다. 공동대책위는 오는 21일부터 거리선전과 시민 서명운동에 나서고 28일에는 발전소 건설 현장에서 시행자인 한국중부발전을 규탄하는 집회를 가질 예정이다. 6^4 지방선거 출마자들을 대상으로 열병합발전소에 대한 찬^반 공개질의를 통해 찬성하는 출마자에 대해서는 낙선운동을 전개할 방침이다. 이에 대해 원주시와 원주기업도시 측은 열병합발전소 건립공사가 이미 공정률이 40% 넘게 진행됐으며 국비를 지원받아 추진하는 사업으로 중단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원주시 관계자는 “엄격한 기준치를 적용해 다이옥신 등 심각한 환경호르몬은 발생하지 않고 건립 이후에도 환경부가 정한 기준치를 넘으면 곧바로 가동이 중단되는 만큼 시민이 우려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원주기업도시 내에 국비 등 총사업비 625억 원을 투입돼 내년 5월 준공을 목표로 건립 중인 그린열병합발전소는 RDF를 자원으로 하는 신재생에너지 시설이다. 한편 원주시는 또 문막읍 궁촌리 일원 180만 9880㎡에 2016년까지 1200억 원을 들여 화훼생산 및 유통단지와 테마파크, 숙박, 체육시설 등을 갖춘 화훼특화관광단지를 조성하면서 이를 위한 대규모 열병합발전소도 건립할 계획이어서 이를 둘러싸고 갈등이 심화될 전망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