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인천시 ‘나홀로 행정’ 중단해야”
상태바
“인천시 ‘나홀로 행정’ 중단해야”
  • 인천/ 맹창수기자
  • 승인 2017.02.09 08: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홍미영 인천 부평구청장이 최근 인천시가 재원조정교부금 산정 시 기존에 사회복지비를 선 보전하던 방식을 일선 구와 사전 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폐지한 것에 대해 ‘졸속·불통 행정의 전형’이라며 강력히 비판하고 나섰다.
 8일 구에 따르면 조정교부금 제도는 자치구 상호간의 재정력 격차를 해소하고 합리적인 재정조정을 통해 균형 있는 지방자치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제도로 인천시는 시세 중 보통세의 20%를 보전재원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것.
 인천시는 지난 2012년에 사회복지비 부담률이 높아 재정이 악화된 부평구 등 구도심 자치구의 요구 등을 반영, 자치구 사회복지비 중 자치단체 경상보조금 국시비에 대한 구비 부담분 전액(교부금의 약 45%)을 선보전하고 그 나머지를 일반적 기준으로 조정하도록 제도를 변경해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4년간 운영해 왔다.
 그러던 시가 갑작스럽게 2017년도 재원조정교부금 산정 때부터 ‘선 보전 제도 폐지’를 골자로 하는 제도 변경을 지난 3일 각 자치구에 통보함에 따라 홍미영 부평구청장은 7일 ‘제도 보완’을 강하게 촉구했다.
 시는 사회복지비 선 보전 제도의 폐지 사유로 영유아 보육료 국비보조금 인상으로 구비 부담률이 완화됐고 누리과정 도입으로 지자체 부담이 완전면제 되는 등 재정보전 효과가 발생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부평구의 사회복지비 비중은 지난 2013년 60%에서 2017년 64%(3815억 원)로 오히려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홍미영 구청장은 “자치구의 재정운영과 주민생활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재원조정교부금 제도를 변경하는데 있어 관련 당사자인 자치구의 의견수렴 과정이 생략된 것은 물론, 주민이나 전문가 토론, 공청회, 전문기관 연구 등 사회적 합의과정 없이 갑자기 제도를 변경해 매우 황당하다”며 “인천시의 ‘나 홀로 행정’이 문제를 푸는 게 아니라 항상 꼬이게 한다”고 꼬집었다.
 인천시 자치구 중 재정자주도가 36%로 최하위인 부평구는 이번 제도 변경으로 약 50억 원의 교부금이 감소한 반면, 재정자주도가 55%로 1위인 모 자치구는 오히려 약 55억 원이 증가, 내용이나 절차 면에서 졸속이라는 비판을 면하기 어려운 실정이라는 게 홍 구청장의 지적이다.
 이에 따라 홍 구청장은 인천시에 ‘사회복지비 선 보전 제도의 유지’를 촉구하고 “개선이 필요하다면 상호 충분히 협의해 조정교부금 기준수요액 측정항목 가운데 사회복지분야에 가중치를 두는 등 제도적 보완책이 마련된 후 시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