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다세대·연립주택 빈집 급증…주택시장 뇌관 되나
상태바
다세대·연립주택 빈집 급증…주택시장 뇌관 되나
  • 수도권취재본부/ 김창진.최승필기자
  • 승인 2017.05.24 08: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기도내 개발지역 중심 5년새 81%↑
전체 빈집 비율서도 2배 가까이 증가
평택·수원 등 일부 지역서 집중 발생
무분별한 건축탓 금융시장 영향 우려


 경기도내에서 개발이 활발한 지역을 중심으로 빈 다세대주택과 연립주택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어 주택시장의 불안요인이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23일 경기도 및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15년 말 기준 도내 빈집은 14만4893가구다. 아파트가 8만1184가구, 단독주택이 1만1393가구, 연립주택이 9474가구, 다세대주택이 4만1242가구, 비거주용 건물 내 주택이 1600여 가구였다.


 평택시가 1만7000여 가구로 도내에서 가장 많고, 다음이 화성시 1만4500여 가구, 안산시 9600여 가구, 용인시 9만1000여 가구, 수원시 8500여 가구 순이었다.
 이같은 도내 총 빈집 수는 5년 전인 2010년 말 15만4099가구보다 6.0%(9206가구) 준 것이다. 단독주택 빈집이 3만1648가구에서 1만1393가구로 64.0% 감소하고 아파트 빈집도 12.5% 감소했다.


 하지만 연립주택과 다세대주택의 빈집 수는 같은 기간 2만7902가구에서 5만716가구로 무려 81.8%나 급증했다. 전체 빈집에서 연립주택과 다세대주택이 차지하는 비율도 2010년 18.1%에서 2015년 35.0%로 2배 가까이 늘었다.
 빈 연립주택 및 다세대주택의 증가는 평택과 수원 등 개발이 활발한 일부 지역에 집중돼 있다. 평택시의 경우 총 빈집이 2010년 9462가구에 2015년 1만7086가구로 80.6% 늘어나는 사이 빈 연립주택과 다세대주택은 1551가구에서 6617가구로 무려 326.6%나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안산지역에서도 전체 빈집이 109.0% 늘어난 반면 연립주택과 다세대주택은 214%나 늘었고, 수원시와 용인시에서도 다세대주택과 연립주택 빈집이 같은 기간 43.5%와 92.4% 급증했다. 화성시내 빈 연립주택과 다세대주택도 56.2%가 늘었다.
 부동산 시장 관계자들은 연립주택이나 다세대주택 등이 아파트 건축보다 주차장 확보와 학교시설 등에서 건축허가가 쉬운 상황에서 수요를 적절히 고려하지 않은 채 건축이 무분별하게 추진되는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평택의 경우 주한 미군 이전을 염두에 두고 다세대주택 등의 건설이 한동안 경쟁적으로 이뤄진 경향이 있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금융권 대출을 받아 연립주택이나 다세대주택을 신축한 뒤 제대로 분양하지 못하면 건축주의 경제적 손실은 물론 금융 시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실제 매매·임대 후 이사 또는 미분양·미입주로 인한 연립주택과 다세대주택의 빈집 수는 2010년 1만6985가구에서 2015년 3만9782가구로 134.2%(2만2797가구)나 급증했다.
 평택시 관계자는 “몇 년 전부터 미군 기지 이전에 맞춰 관내에 연립과 다세대주택이 많이 건설됐으나 주한미군 이전이 늦어지면서 빈집이 크게 늘었다”며 “주한 미군들이 평택으로 모두 이전하면 빈 연립주택 등은 어느 정도 해소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경기도 관계자는 “규제 완화를 많이 이야기하다 보니 연립주택이나 다세대주택이 많이 건설되고 있는 것은 맞다”며 “지자체에서 사유재산인 빈 다세대주택 등에 대해 어떻게 할 방법이 없는 만큼 정부 차원에서 다세대주택 미분양 등 여러 문제에 대한 종합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본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