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밀양 닮은꼴’ 노인요양병원 전국에 수두룩
상태바
‘밀양 닮은꼴’ 노인요양병원 전국에 수두룩
  • 전국종합/ 김윤미기자
  • 승인 2018.01.30 14: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 요양병원 소화·경보불량 135건·대전 10곳중 3곳 스프링쿨러 미설치
경기지역 33.1% 각종 문제점 산재…화재시 속수무책 ‘비극 되돌이표’ 우려

 최근 밀양 세종병원 화재 참사의 원인으로 지목된 미비한 소방시설과 스프링클러 미설치로 인한 위험이 전국 곳곳에 산재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내 노인병원 등 시설에서도 화재에 무방비인 사례가 100건 넘게 드러났으며 대전지역 요양병원 10곳중 3곳은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지 않거나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화재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실정이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이번 밀양 화재 이전인 지난해 11월부터 노인요양병원 106곳, 노인요양시설 239곳을 대상으로 소방공무원 197명을 투입해 소방특별조사를 진행한 결과 42곳에서 총 135건의 소방안전 불량을 적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전체 조사 대상 345곳 가운데 84%인 291곳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나머지 조사 대상 병원과 요양시설은 점검이 진행 중이다.


 본부는 조사에서 ▲소방시설 정상 작동 유지관리 여부 ▲소방시설 불법 폐쇄·훼손 여부 ▲방화문·피난계단·자동열림장치 등 피난시설 적정 여부 ▲화재 등 비상시 초기대응능력 ▲관계자 안전교육 실시 등을 집중적으로 들여다봤다.
 그 결과 소화설비 불량 35건, 경보설비 불량 21건, 피난설비 불량 58건, 건축법 위반 10건, 기타 10건 등 총 135건이 적발됐다. 본부는 이에 조치명령 31건, 기관통보 5건, 과태료 부과 6건 등 42건의 행정처분을 내렸다.


 구체적으로는 건물 내 ‘스프링클러 헤드’ 수량이 부족한 경우, 옥내 소화전 작동 불량 등 소화설비가 불량한 경우 등이 드러났다. 또 불이 나면 관할 소방서에 자동으로 신고되는 장비인 ‘자동화재속보설비’가 서울종합방재센터와 연결돼 있지 않아 무용지물이 된 사례도 나타났다.


 이 밖에 자동문이 화재감지기와 연동되지 않아 화재 시 자동으로 열리지 않는 곳도 있었다. 방화문을 잠가버리거나, 비상 통로에 장애물을 놓은 경우도 지적됐다.
 본부는 “요양병원과 노인요양시설 조사를 마치는 대로 일반 병원 362곳을 대상으로도 소방특별조사를 다음 달까지 벌일 예정”이라고 전했다.


 시는 이번 화재를 계기로 요양병원에서 불이 났을 때 환자용 매트리스를 들것으로 사용해 구조에 속도를 내는 방안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본부는 “이 같은 방법은 독일과 영국에서 사용 중”이라며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구조하려는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또 시내 모든 요양병원 106곳에 간이 스프링클러 설치를 오는 6월까지 마치고, 화재 초기 투입하는 인력을 기존 4∼6개 진압대에서 6∼8개로 늘려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기로 했다.
 올해 1월 현재 대전지역 요양병원 52곳 가운데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지 않은 곳은 12곳이고 설치했더라도 부적합 판정을 받은 곳이 3곳이었다.
 스프링클러 미설치와 부적합을 제외한 설치율은 71.1%로 10곳 중 3곳은 설치되지 않은 셈이다.


 다만 올해 6월까지 스프링클러를 설치하도록 한 만큼 미설치 병원들도 공사 업체를 선정하거나 공사를 시작하는 등 작업을 서두르고 있다.
 대전시 소방본부는 밀양 참사 후 시민 불안 해소를 위해 다음 달 말까지 전체 요양병원에 대한 특별점검을 한다는 입장이다.


 휴무·야근 근무 시 적정 인원 배치 및 소방시설 작동 여부, 비상구 차단·잠금 등 피난통로 안전확보 여부, 피난 약자 고려 별도 대피 계획 수립, 비상상황 대비 실제 훈련 실시 여부 등이 점검 대상이다.
 한편 경기도재난안전본부가 지난달 26일부터 지난 19일까지 요양병원, 요양원 889곳 등 1576곳에 대한 일제 소방점검결과 33.1%인 522곳에서 786건의 각종 문제점을 발견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