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강원도 “포스트 올림픽체제로” ‘신강원 발전’ 전략 본격 추진
상태바
강원도 “포스트 올림픽체제로” ‘신강원 발전’ 전략 본격 추진
  • 춘천/ 김영탁기자
  • 승인 2018.04.09 09: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림픽 운영국→평화지역발전단 전환
3개단·4개과 신설…7월1일자 단행


 강원도가 평창동계올림픽 성공 개최와 연계해 각 실·국을 ‘포스트 올림픽’ 체제로 전환한다.
 올림픽운영국을 태스크포스(TF) 형태의 가칭 ‘평화지역발전단’으로 전환하고 4차산업추진단을 신설하는 등 3개 단, 4개 과 신설을 주요 골자로, 오는 7월1일자로 단행할 예정이다.


 평화지역발전단은 군인 외출·외박구역(위수지) 제한제도 폐지 논란이 일었던 접경지역을 중심으로 올림픽 미개최지역을 올림픽 사이트화하려는 구상이다. 접경지역을 평화를 상징하는 대표지역으로 탈바꿈시킨다는 전략으로 접경지역 명칭도 평화지역으로 변경한다는 방침이다.


 도는 또 올림픽 미개최지역 숙박, 음식, 경관 등을 올림픽 수준으로 리모델링해 올림픽 유·무형 레거시를 접목하는 등 ‘신(新)강원 발전론’과 연계할 계획이다.
 하지만 업무 효율성 저하 등 실효성 논란이 일고 있다.


 올림픽운영국 내 현재 7개 과는 사후관리 업무와 정산 작업 등 사후처리 업무에 중점을 두고 있어 직원들의 업무 과중과 혼선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다.
 도는 앞서 평창올림픽을 통해 얻은 유·무형 자산을 신성장 동력으로 전환하는 정책을 발표했다. 대회 시설 활용과 올림픽 비전이었던 경제·문화·환경·평화·정보통신기술(ICT) 분야를 유산화를 위한 세부활용과제를 발굴, 육성하기로 했다.


 남북화해 분위기를 바탕으로 남북교류 전초기지화에 초점을 맞춘 평화올림픽 분야 유산화 세부사업도 시행한다. 금강산 관광 재개 및 설악∼금강권 국제관광자유지대 조성, 철원평화산업단지 조성, 양묘사업 등 산림교류를 위한 ‘통일산림복구센터’ 설립, 강릉∼제진 철도 등 통일·북방시대 대비 교통망 확충 등이 주요 사업이다.


 도 관계자는 7일 “올림픽 유산을 잘 관리해 유지하고 활용해 나가는 것이 앞으로 남은 과제”라며 “조직과 도 발전방안을 포스트올림픽을 위한 체제와 전략으로 전환하고서 최적의 ‘신강원’을 열어가는 데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