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청주시 새 청사 건립 3년 늦춰져…2025년 준공
상태바
청주시 새 청사 건립 3년 늦춰져…2025년 준공
  • 청주/양철기기자
  • 승인 2018.09.02 09: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부지 매입 지연되자 계획 수정…2022년 첫삽 뜨기로
특위 구성해 연말까지 시청 본관 존치 여부 결정


 충북 청주시와 청원군 행정구역 통합 이후 2022년 준공하는 것으로 계획됐던 통합 청주시 청사 건립이 3년 늦춰졌다.
 
 현 청주시청 부지는 1만2874㎡이고 본관은 연면적 1만665㎡이다. 시는 인근 땅을 사들여 2만8450㎡의 부지에 연면적 4만9916㎡의 통합 시청사를 지을 계획이다.
 
 내년 하반기 첫 삽을 뜬다는 게 청주시의 당초 구상이었지만 부지 매입이 지연됨에 따라 시청사 착공연도는 2022년 상반기, 완공연도는 2025년 하반기로 변경됐다.
 
 시 관계자는 "부지 매입이 예정보다 늦어지고 문화적 가치가 있다는 시청 본관의 존치 여부에 대한 의견수렴 절차도 필요해 부득이 시청사 건립계획을 3년 늦추게 됐다"고 밝혔다.
 
 시청사 건립 예정부지 매입은 작년 5월 시작됐다. 감정평가를 거쳐 매입 절차가 마무리된 부지는 6개 필지 약 5280㎡(152억원)이다.
 
 그러나 아직 21개 필지 1만41㎡에 대한 계약은 체결되지 않았다. 청주병원과 청석학원 소유 땅이다.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상 감정평가 후 1년이 지나면 다시 감정평가를 해야 한다.
 
 이 법에 따라 청주시는 충북도와 토지 소유주들이 추천한 감정평가업체를 선정, 지난달부터 2차 감정평가에 나섰다.
 
 시는 감정평가를 이달 말까지 끝내고 다음 달 도시계획 실시 인가 절차에 나설 계획이다.
 
 관련 용역이 마무리되는 내년 4∼5월께 청주시는 도시계획 실시 인가를 고시한 뒤 보상계약이 체결되지 않은 부지를 강제 수용할 계획이다.
 
 보상계약 체결 절차만 밟다가는 시청사 건립 추진이 진척되지 않을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건물·부지 소유주가 청주시의 강제수용안을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법적 소송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이렇게 되면 청사 건립이 수정된 계획보다 더 늦어질 수 있다.
 
 건립이 늦춰지면서 청주·청원 통합의 주역이었던 한범덕 시장은 민선 7기 재임 기간 시청사 완공을 못 보게 됐다.
 
 한 시장은 "시청사 건립 첫 삽을 뜨는 것을 보는 것에 만족하겠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내셔널트러스트가 작년 11월 '꼭 지켜야 할 건물'로 선정하며 '뜨거운 감자'로 떠오른 시청 본관 건물의 존치 여부는 오는 12월 말까지 결정된다.
 
 시청 본관은 1965년 건립됐다. 이 건물이 청주시의 전통적 지리관인 행주형(行舟形) 입지를 반영한 역사적 가치와 당시 건축 시설의 특성, 공공시설의 특성을 잘 살린 문화유산이라는 게 한국내셔널트러스트의 입장이다.
 
 문화재청도 시청 본관을 등록문화재로 지정할 만한 가치가 있는 건물로 보고 있다.
 
 청주시는 이달 중 가칭 '시청사 건립 특별위원회'를 구성, 본관 존치 여부 등을 결정할 계획이다.
 
 시민단체와 문화예술단체 관계자, 시의원, 주민자치위원, 건축사 등 20∼30명이 이 위원회에서 활동하게 된다. 이들은 설문조사나 토론회를 열어 시민 의견을 수렴한 뒤 연말까지 본관 존치 여부와 시청사 건립 방향 등을 결정, 청주시에 넘긴다.
 
 청주시 관계자는 "위원회 결정 사항은 통합 시청사 건립의 가이드라인이 될 것"이라며 "기본·실시설계 때 위원회 결정 사항을 반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