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노원구 전국 최초, 금연 성공 주민에게 최대 30만원 지원
상태바
노원구 전국 최초, 금연 성공 주민에게 최대 30만원 지원
  • '
  • 승인 2014.04.21 11: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국매일/서울> 백인숙 기자= 통계청에서 지난 달 발표한 ‘2013년 한국의 사회지표’에 따르면 2012년 기준, 19세 이상 인구 중 평생 5갑 이상의 담배를 피웠고 지금도 담배를 피우고 있는 사람의 비율은 25%였다. 성별로는 남성의 43.3%, 여성의 7.4%가 흡연을 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또 2011년 기준 노원구의 흡연율은 23.9%로 서울 25개 자치구 중 7위이고 남자 흡연율은 46.1%로 4위이다. 지난해 1년간 노원구청 직원을 대상으로 금연 성공자에 대해 복지포인트 500P(1P: 1000원)를 상금으로 걸고 금연클리닉을 운영한 결과 참여자 63명 중 38명인 60.3%가 금연에 성공했다. 특히 미국 GE산하 전역 85개 사업장에서 1년간 878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현금 인센티브를 제공받은 금연그룹이 금연프로그램만 제공된 그룹에 비해 금연 성공률이 5%에서 14.7%로 향상됐으며, 1년 6개월간 금연성공률도 3.6%에서 9.34%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이에 서울시 노원구(구청장 김성환)가 전국 최초로 금연에 성공한 구민에게 최대 30만원의 지원금을 지급한다.현재 46.1%인 노원구 성인남성 흡연율을 2018년까지 OECD 평균 수준인 29%대로 떨어뜨리고자 지원금 지급을 결정한 구는 지난 4월18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금연환경 조성 특별회계 설치 조례안>이 구의회를 통과했다고 4월20일 밝혔다.구는 ‘금연도시 노원’을 만들기 위해 금년에 관내 모든 버스정류소 449개와 학교절대정화구역 94개소에 대해 금연구역으로 지정(실내금연구역까지 합하면 모두 4746개소)한다.또 현재 150㎡ 이상의 휴게음식점, 일반음식점, 제과점, 호프집 등에서는 담배를 피울 수 없고 장기적으로 모든 실내다중이용시설에 대해 전면 금연을 시행한다. 특히 실외 금연구역을 단계별로 확대해 실외 공공장소의 간접흡연 경험률을 2018년까지 75% 이하로 떨어뜨리기로 했다. 구는 그동안 금연정책이 주로 단속위주의 과태료 부과에 주안점을 둔 것과 달리 금연구역 내 흡연자에게 부과되는 과태료(5만원~10만원)를 재원으로 금연에 성공한 구민에게 인센티브(포상금)를 제공한다. 먼저 노원구 금연클릭센터에 금연서약을 하고 1년간 금연에 성공하면 10만원을 지급한다. 그리고 1년6개월간 금연에 성공할 경우 10만원 상당의 노원문화예술회관 및 관내 영화관의 관람권을 지급한다. 2년 동안 금연에 성공할 경우 10만원의 추가 지원금을 준다.(단 주민등록상 노원구민에 한해 금연등록 및 성공판정 시 평생 1번만 지급) 구의 추계에 따르면, 2015년의 경우 5~10만원에 달하는 과태료를 1만5840건 부과할 경우 총 5억2000여 만원의 세입이 발생하며 금연클리닉에 등록된 2500여명의 주민 가운데 절반인 1250명이 1년간 금연에 성공했을 경우 1인당 10만원의 인센티브를 제공하면 1억2500만원의 보상 지원금이 지급된다. 또, 2016년에는 금연 클리닉 등록 주민 6000여명 중 12개월간 금연에 성공한 주민 3000여명에 대해, 금연 클리닉 등록 주민 2500여명 중 24개월간 금연에 성공한 주민 1000여명에 대해 각 10만원의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구는 내다보고 있다. 구는 금연도시 노원을 만들기 위해 지난 3월 보건소 내 ‘금연사업팀’을 신설했다. 팀장 및 직원 4명으로 구성된 금연사업팀은 최일선의 현장에서 ▲금연환경 조성사업 ▲금연클리닉 운영 ▲청소년 금연사업 등 ‘금연도시 노원’ 프로젝트를 총괄·추진한다. 또 현재 2명에 머물고 있는 흡연 단속직원을 5명까지 충원해 단속 전담반을 구성, 공원, PC방, 버스정류소, 식품제공업소 등 공중이용시설을 관리하고 있는 담당부서와 공조해 금연 단속과 과태료 부과를 활성화할 계획이다. 한편 구는 과태료 부과에 따른 흡연자들의 개인의 자유와 권리 주장에 따른 다발적 민원도 상당수 발생할 것으로 예상, 흡연에 의한 이웃들의 건강 피해도 최소화하고 공공장소에서의 금연에 따른 과태료 부과 등 부정적인 사회적 제약에 대한 보완책을 마련키 위해 상당시간 동안 고심했다. 이와 더불어 금연 결심 구민들에게 금연클리닉 접근도를 높이고 금연율 향상을 위해 구는 권역별(상계, 중계, 월계) 금연클리닉 센터에 금연상담사 4명도 충원·배치한다는 계획이다. 구는 지난 해 금연아파트로 지정돼 있지 않은 지역의 247개단지 아파트를 대상으로 신청을 받아 ▲금연구역지정 및 관리 ▲자율봉사단 구성 ▲자체 캠페인 진행 등을 자체 평가해 20곳의 아파트를 담배 연기 없는 ‘금연아파트’를 지정·운영하고 있다. 금연아파트는 금연을 해야 한다는 강제성은 없지만 지정만으로도 담배로 인한 주민들의 간접흡연 피해를 예방하며 화재 등 각종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흡연으로 인한 위아래 층간의 다툼과 갈등을 줄여 주며 담배꽁초 없는 깨끗한 환경을 만들어 나가고 있다. 이외에도 ‘청소년 금연사업’도 병행해 초·중·고교 일산화탄소 및 니코틴 검사 실시 대상학교를 현재의 4개 학교에서 15개 학교로 확대하고, 흡연예방교육, 금연교실 운영 등도 추진한다. 노원구 상계동에 거주하는 한 주민은 “금연을 시도했지만 번번이 실패했는데 노원구에서 금연에 성공한 구민에게 포상금을 준다고 하니 이번 기회에 건강도 챙기고 돈도 벌고 금연에 도전해 성공해 보이겠다”고 의지를 내비쳤다.김성환 구청장은 “현재까지 정부나 대다수 지자체의 금연정책은 단속위주로만 그쳐 그 실효성이 그다지 크지 않았다”면서 “이에 지난 3월 금연사업팀을 신설하고, 전국 최초로 금연환경 조성을 위한 특별회계설치조례까지 구의회를 통과해 비로소 지역 주민의 흡연율과 비흡연자의 간접흡연도 크게 줄어드는 일명 금연도시 노원을 만들기 위한 기반을 다졌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