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경기도 대기질 대폭 개선
미세먼지 저감 대책 효과
상태바
경기도 대기질 대폭 개선
미세먼지 저감 대책 효과
  • 최승필기자
  • 승인 2019.01.06 17: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세먼지 연평균 농도 13.7% 감소
초미세먼지 ‘좋음’ 일수 큰폭 증가


 경기도가 지난 2017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미세먼지 저감 종합대책’ 추진 결과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다.
 6일 도에 따르면 경기지역 미세먼지(PM10) 연평균 농도는 지난 2017년 ㎥당 51㎍에서 지난해 44㎍(잠정)으로 13.7% 낮아졌고, 초미세먼지(PM2.5) 연평균 농도도 2017년 27㎍에서 지난해 25㎍(잠정)로 7.4% 감소하는 등 대기질이 개선된 것으로 조사됐다.
 또, 초미세먼지 ‘좋음’ 일수는 2017년 87일에서 지난해 126일로 대폭 증가한 반면 일평균 미세먼지농도 35㎍초과한 '나쁨'일수는 2017년 88일에서 지난해 74일로 감소했다.
 이 같은 성과는 도가 2017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미세먼지 저감종합대책’이 실효를 거두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도는 미세먼지 배출사업장에 대한 단속 강화를 추진, 지난해 미세먼지 배출사업장 5594개소에 대한 자체 점검을 통해 549개소를 적발, 행정조치했다.
 이는 2017년 4281개소(337개소 적발)를 대상으로 실시한 자체점검 실적보다 30% 이상 증가한 수치다.
 또, '친환경차 인프라 구축'을 위해 지난해 전기차는 3200여대, 전기차충전기 5700여기를 보급함에 따라 전체 전기차는 5700여대, 전기차충전기는 8300여기로 확충하게 됐다.
 이와 함께 노후경유차 4만7000여대와 일반경유차의 9.5배의 미세먼지를 배출하는 것으로 알려진 노후건설기계 726대에 대한 저공해화 사업을 진행, 수송 분야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 저감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10월 전국 최초의 미세먼지 전담조직인 '미세먼지대책과'를 신설하고, 5팀·30명 규모였던 ‘공단환경관리사업소’를 9팀·50명 규모인 ‘광역환경관리사업소’로 확대, 개편하는 등 대규모 조직개편을 통해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도는 올해도 전기차 4200여대, 전기차충전기 2000여기, 수소차 200대, 수소충전소 3개소 등의 추가 보급을 통해 '친환경 자동차 인프라'를 확충, ‘친환경차 타기 좋은 새로운 경기도’를 조성할 계획이다.


 이밖에 취약계층 이용시설 9000개소에 대한 실내공기질 무료 측정 컨설팅, 어린이집 등 취약계층 이용시설 2만1000여개소 공기청정기 지원, IoT 기반의 실내공기질 상시측정 시범사업 등을 통한 실내공기질 개선도 도모해 나갈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초미세먼지 농도 개선 추세를 볼 때 미세먼지 저감 종합대책의 성과가 서서히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지난해 수립한 제2차 미세먼지 저감 종합대책의 차질 없는 추진으로 도민이 체감하고 미세먼지 걱정 없이 살아갈 수 있도록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