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인천시 ‘미세먼지 감축’ 속도 높인다
상태바
인천시 ‘미세먼지 감축’ 속도 높인다
  • 인천/ 정원근기자
  • 승인 2019.05.16 03: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존 2024년 20㎍/㎥ 2021년 조기 달성
2024년 목표 18㎍/㎥까지 저감에 총력전
집중관리지역 취약계층 보호·지원 강화

<전국매일신문 인천/ 정원근기자 > 

   ‘2024 미세먼지 종합대책’ 재수립 <上>

 

  ​인천시가 미세먼지 감축에 속도를 낸다.


 시는 연평균 미세먼지(PM2.5) 저감 목표를 기존 2024년 20㎍/㎥까지 감축하겠다는 계획을 2021년에 조기 달성하고, 2024년까지 18㎍/㎥까지 저감할 계획이다.


 박남춘 시장은 “올해는 이미 수립된 ‘2020 미세먼지 종합대책’에 따라 ▲발전·산업부문 ▲수송 ▲도로청소 ▲도시녹화 ▲측정 ▲민감 계층 지원 ▲국내·외 협력의 7개 부문에 대한 전략적인 미세먼지 저감대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특히 21개소에 한정된 고정식 대기측정망을 보완하고, 오염 확산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국가 과학기술 정보 전문 연구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과 ‘버스노선 연계 대기오염 분석 솔루션 개발’을 위해 협력사업을 추진하는 등 시민생활공간에서 공기질을 측정·예측하는 시스템을 강화한다.


 대기오염 측정 모듈과 수집 장비를 시내버스 10대에 설치, 버스노선 구석구석의 대기오염을 실시간 모니터링 함과 동시에 슈퍼컴을 이용한 확산 모델을 개발, 시민 보호 방안에 적용하고 향후 대부분의 버스 노선에 확대 적용할 방침이다.


 또 노후 차량에 대한 저공해 사업 1200억 원, 취약계층 마스크 보급 40억 원, 수소차 보급 32억 원, 전기택시 3억5000만 원 등 미세먼지 추경 사업을 대폭 확대할 예정이며, 클린도로 1개소와 친환경 청소차량 구입을 위해 21억 원을 국비 지원 없이 우선 추진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2024 미세먼지 종합대책’을 올해 새롭게 보완해 수립할 예정으로, 종합계획에는 분야별 저감 사업 확대와 미세먼지 농도가 높고 취약계층이 많은 지역 2~3곳을 집중관리지역으로 지정, 취약계층에 대한 보호와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인천은 영흥화력발전소 등 9개의 발전소, 정유사, 항만, 공항, 수도권 매립지 등 국가시설과 11개의 산업단지가 산재, 타 지자체에 비해 대기환경 여건이 열악한 실정이다.


 김재원 시 대기보전과장은 “시는 2004년부터 지속적으로 LPG엔진 교체, 조기폐차, 건설기계 저감장치 등 경유차량 저공해 지원사업과 더불어 친환경 전기차 1071대 보급지원과 친환경 버스 3085대 구입 지원, 도로 재비산 먼지 제거차량 112대를 확보해 분진흡입, 살수 등 도로 청소를 실시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아울러 시멘트 벌크차량의 압송시스템 개선사업을 추진해 6개 사업장에 총 8개 시설을 설치 완료했고, 노후 경유차 운행제한 단속시스템(CCTV 22대)을 11개 지점에 설치해 저공해 조치 미이행 차량에 대해 단속을 실시하고 있다.


 실제로 민간차원에서는 인천지역의 다량 배출 사업장인 10개 발전사와 정유사에서 최근 8년간 자체 재원 1조7000억 원을 투입, 대기환경 시설 개선으로 발전.정유사의 오염물질(NOx, SOx 등) 배출량을 2011년 2만748t에서 2018년 1만3630t으로 7118t(34%↓)을 획기적으로 감축했다.


 박성연 대기개선팀장은 “지난 2년동안 미세먼지 저감사업에 2000여억 원을 지속적으로 투입한 결과, 미세먼지(PM2.5) 발생량이 2016년 26㎍/㎥, 2017년 25㎍/㎥, 지난해 22㎍/㎥로 꾸준히 감소되는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인천/ 정원근기자 wk-ok@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