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경기도 버스사업자 90% “수소버스 도입 긍정적”
상태바
경기도 버스사업자 90% “수소버스 도입 긍정적”
  • 최승필기자
  • 승인 2019.09.04 16: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기연구원, 61개 대상 ‘수소버스 도입 여건 조사’

<전국매일신문 최승필기자 >정부가 수소경제를 3대 전략투자 분야로 선정하고,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 따라 국토부는 2022년까지 수소버스 2000대를 보급할 계획인 가운데, 경기도 시내버스운송사업자를 대상으로, 수소버스 도입 여건 조사를 실시한 결과가 발표돼 이목을 끌고 있다.

경기연구원은 지난 7월 도내 시·군 인허가 64개 시내버스업체 중 61개 업체 운송사업자를 대상으로 한 수소버스 도입의사 및 도입여건, 선호전략에 대한 전수조사를 토대로 ‘경기도 수소버스 도입 여건 조사’를 발간했다.

조사에 따르면 경기도 시내버스운송사업자는 수소버스 도입에 48개(78.7%) 업체에서 보통 이상의 긍정적인 의견을 보였으나 전기버스 83.9%에는 못 미치는 수준이다.

수소버스 도입 취지 및 필요성에 대해서는 보통 이상 긍정 응답이 55개(90.2%) 업체에 달해 크게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도입의사(78.7%)보다 월등히 높은 비율로 미뤄 수소버스 도입의사가 없더라도 취지에는 크게 공감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수소버스가 회사 이익에 부합하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49개(80.3%) 업체가 긍정적으로 응답, 전기버스 82.2%와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수소버스 기대편익 순위로는 기업의 친환경 이미지 제고(46개 업체), 유류비 절감(43개 업체), 정류장 매연 감소, 차내 소음 감소 등 승객편의 증진(28개 업체)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전기버스 기대편익 순위인 유류비 절감, 승객편의 증진, 승무원 근무만족도 증진과 비교할 경우 수소버스는 기업의 친환경 이미지 제고(1순위)로 친환경 상징성이 비교 우위인 것을 알 수 있다.

수소버스 도입 장애 요인으로, 회사 내부적으로는 초기 투자비 과대, 차량 운영상 제약, 차량 운영비용 상승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1순위인 초기 투자비 과대에 대해서는 53개(86.9%) 업체가 타 요인 대비 압도적인 응답을 보여 초기 투자비에 대한 부담이 상당함을 알 수 있다.

정부 정책에서의 장애 요인으로는 정부의 정책 일관성 부족, 정부정책의 지속 불확실성, 초기 정책 지원 부족 순으로 응답했고, 이는 전기와 수소 등 버스연료 관련 정부정책의 일관성 부족에 대한 불신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한편, 수소버스 최초 도입 가능년도는 19개(31.1%) 업체가 4년 내로 응답, 전기버스(48개 업체, 77.4%) 대비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도입 취지에는 크게 공감하지만 투자비, 기술신뢰 등의 문제로 도입은 천천히 하자는 것으로 풀이된다.

김점산 연구위원은 “수소버스 도입을 위해 도는 차량가격과 운행비용을 낮추기 위한 공동구매, 연료보조금 유지, 총전소 설치보조금, 공영차고지 추가 확보, 수소 파이프라인 설치 지원 등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1회 충전 운행거리, 충전시간, 고장률, 주요부품 보증기간 등 버스운송사업자의 요구를 반영한 수소버스 표준모델 개발, 보조금 지급 기준 활용, 차량 제조사 기술개발 유인 등이 추가로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최승필기자 choi_sp@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