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에이즈 퇴치 노력 세진다
상태바
에이즈 퇴치 노력 세진다
  • 이신우기자
  • 승인 2019.11.28 14:3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예방관리 대책’ 수립…‘신규감염·사망·차별 제로’ 비전
HIV 노출 후 검사시기 12주→4주 단축…전문인력 확대

2023년까지 에이즈(후천성면역결핍증) 퇴치를 목표로 '후천성면역결핍증 예방관리 대책'을 수립했다고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가 28일 밝혔다.

우선 1단계로 2023년까지 감염 인지와 치료율, 치료효과를 90%까지 높이고, 2단계로 2030년에는 이를 95%까지 끌어올린다는 게 목표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기준으로 HIV(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과 AIDS(에이즈) 생존 감염인은 1만2991명, 신규 발생은 1206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36개 중 두 번째로 낮은 수준이다.

이번에 마련된 대책은 사전예방과 조기발견, 치료지원 등을 통해 에이즈 퇴치를 가속하기 위한 것으로 '신규감염 제로, 사망 제로, 차별 제로'를 비전으로 삼았다.

이를 위해 조기발견과 조기진단 체계를 강화하고 환자·접촉자 관리, 연구개발·예방치료, 대국민·대상군별 교육·홍보를 강화한다. 먼저 조기에 감염을 인지할 수 있도록 HIV 노출 후 검사 권고시기를 기존 12주에서 4주로 단축한다. 음성인 경우에는 재검사를 6주, 12주에 하도록 권고한다.

현재 HIV 간이검사를 시행하는 보건소는 96개소로 전체 37% 수준이지만, 이를 2023년에는 전국 보건소로 확대한다. 또 20분 이내에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신속검사에서 양성이 나오면 '반드시 추가검사가 필요하다'는 내용을 안내할 예정이다.

감염취약집단(고위험군) 검진율 향상을 위해 에이즈예방센터도 기존 5개소에서 2023년 7개소로 늘려 신속진단·상담 등 종합서비스 제공을 확대한다.

환자와 접촉자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감염인 상담사업 참여 의료기관을 26개소에서 30개소로 확대하고 전담 상담간호사도 35명에서 50명으로 늘린다.

 

[전국매일신문] 이신우기자
leesw@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