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오산시 오뫼장터지구 정비 주거환경사업 '탄력'
상태바
오산시 오뫼장터지구 정비 주거환경사업 '탄력'
  • 오산/ 김원복기자
  • 승인 2015.02.04 01: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기도 오산시가 조례를 만들어 주거환경관리사업 지원에 나선다. 이에 따라 지난 2013년부터 추진해 온 오뫼장터지구 정비사업이 탄력을 받을지 주목된다.

오산시의회는 지난달 29일 손정환 시의원의 발의로 주거환경관리사업 지원에 관한 조례 제정안을 입법예고했다. 조례안은 주민 스스로 기존 생활공간을 새로운 주거환경으로 바꾸는 데 시가 지원할 수 있는 근거를 규정하고 있다.

주민공동체운영회가 사업계획을 제출하면 예산 규모와 자부담 조달 능력 등을 고려해 필요한 경비를 지원하는 한편, 심의위원회를 꾸려 사업계획의 적정성 여부를 자문 또는 심의하는 것이 골자다.

체계적인 지원을 위해 시장이 매년 주거환경관리사업 활성화 계획을 수립·시행하는 내용도 있다. 조례가 제정되면 첫 지원 대상은 오뫼장터지구 사업이 된다. 오뫼장터지구는 2013년 8월 경기도가 공모한 맞춤형 정비사업지구로 선정됐다.

그러나 경기도 차원의 조례가 없어 지방자치단체의 지원 근거와 범위가 모호했다. 시는 이번에 조례가 제정되면 주거환경관리사업이 한층 탄력을 받을 것으로 내다봤다. 오산동 354의4 일대 4만 9977㎡를 대상으로 진행되고 있는 오뫼장터지구 사업은 내달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설계작업이 마무리되면 주민 공람 공고, 시의회 의견청취 등 절차를 거쳐 주거환경관리사업지구 지정 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지구 지정 이후에는 4년간 공사가 진행된다. 국·도·시비 50억 원을 연차적으로 투입해 공공시설물과 도로, 공원 등을 개량·정비할 계획이다. 개인 주택이나 상가는 주민이 개별적으로 정비한다. 재개발·재건축 방식과 달리, 자치단체는 공공 영역만 개선하고 주택과 상가 정비는 주민들이 맡는 방식이다.

주민, 민간단체, 재단법인 등으로 구성된 주민협의체는 그동안 10여 차례 워크숍과 벤치마킹 답사를 진행했다. 애초 사업구상은 ‘문화관광형 마을로의 재탄생’을 목표로 장터 역사관, 전통음식 골목, 체험 장터, 추억의 거리, 은·금혼식장 조성 등이 논의됐으나 기본설계에서 수정돼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전국매일신문] 오산/ 김원복기자
kimwb@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