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경기개발연구원 - 경기도민 3명 중 2명, “교통사고·치안사고 불안해”
상태바
경기개발연구원 - 경기도민 3명 중 2명, “교통사고·치안사고 불안해”
  • 한영민 기자
  • 승인 2015.03.24 08: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안전 7개 분야 중 교통사고(34.2%), 치안사고(32.1%) 불안도 높아 경기도민 3명 중 2명은 생활안전을 위협하는 요소로 교통사고와 치안사고를 손꼽았다. 경기개발연구원이 지난 1월 30일 경기도민 1,000명(10~50대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95% 신뢰수준, 오차범위 ±3.10%) 결과에 따르면 도민들의 불안요소중 생활안전 분야는 화재, 교통, 치안, 자연재해, 환경오염, 질병, 시설물재해 등 총 7개다. 조사의 응답자 34.2%는 교통사고를, 32.1%는 치안사고를 생활안전을 위협하는 주된 요소로 선택했으며, 남성은 교통사고(40.0%)를, 여성은 치안사고(36.6%)를 우선으로 꼽았다. 연령별로는 10대(38.5%)와 20대(40.5%)가 치안사고를, 30대 이상은 교통사고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반면, 안전분야 정보서비스 제공 선호도에서는 치안분야(42.9%)가 교통분야(18.5%)에 비해 월등히 높았으며 치안분야에 대한 정보서비스 요구는 여성(49.2%), 30대 이하(45.0% 이상)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 생활안전정보 제공유형 선호도 조사에서는 교통, 치안, 환경오염, 질병, 시설물분야 등 대부분에서 위험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측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위험관심정보’를 선호했다. 자연재해는 위험발생 시 피난처, 행동요령 등의 대처 및 사후처리에 관한 ‘위험대처정보’에, 환경오염과 질병분야는 실시간으로 발생한 ‘위험현황정보’에 대한 수요가 높았다. 한편 안전정보 제공이 실제 지역의 안전문제를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질문에는 절반 이상(51.4%)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옥진아 경기개발연구원 연구위원은 “빅데이터로 만드는 경기도 안전대동여지도는 인근 지역의 생활안전 위험성을 인식하고 사전에 대비할 수 있는 맞춤형 서비스로 제공돼야 한다.”면서, 이를 위해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는 참여·개방형 플랫폼 구축을 강조했다. 한영민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