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野, 시 도당 집행기구 '5대5 동수구성' 논란
상태바
野, 시 도당 집행기구 '5대5 동수구성' 논란
  • 정치
  • 승인 2014.04.07 06: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새정치민주연합이 시^도당 위원장은 물론 지역 집행기구 인선까지 옛 민주당 출신과 안철수 공동대표측간 ‘5대5 동수’ 원칙을 적용하라는 지침을 내려 일부 지역에서 논란이 되는 것으로 6일 알려졌다. 소수파인 안 대표 측을 배려함으로써 통합의 대의를 살리고 '화학적 결합'을 촉진한다는 취지지만, 옛 민주당 출신들은 기계적인 균형에만 사로잡힌 나머지 지역 현실을 도외시했다며 반발하고 있다. 새정치연합은 최근 17개 시^도당에 6^4 지방선거를 앞두고 당무를 집행할 임시 기구인 ‘시^도당 집행위원회’의 구성과 운영 지침을 내려보냈다. 지침에 따르면 각 시^도당은 공동 시^도당위원장이 같은 수를 추천해 12∼24명 규모의 집행위원회를 구성해야 한다. 문제는 17개 시^도당의 공동위원장단이 민주당측 1명, 안 대표측 1명으로 이뤄져 시^도당 집행위원회도 양측에서 같은 수로 참여하게 된다는 점이다. 새정치연합은 지난 4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울산을 제외한 16개 시^도당의 공동위원장 인선을 마쳤다. 당 관계자는 “합당의 의미와 통합 정신을 존중해 양쪽 세력을 동수로 지명하라는 지침을 받았다”면서 “4개 시^도당이 이미 양쪽 동수로 집행위원회를 구성했고, 나머지 시^도당에도 같은 원칙이 적용될 예정”이라고 전했다. 부산시당, 인천시당, 광주시당(이상 18명), 대전시당(12명)은 실제로 민주당 출신과 안 대표측 출신을 정확하게 반반씩 집행위원으로 선임했다. 민주당 출신 집행위원은 주로 현역 의원과 옛 민주당 지역위원장이고, 안 대표 측 집행위원은 옛 새정치연합 발기인 또는 ‘정책네트워크 내일’ 실행위원 출신이 대부분이다. 문제는 수도권과 호남 등 안 대표 측 세력이 어느 정도 포진한 곳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의 경우 기존 민주당측 인사 숫자에 맞출 만큼 안 대표측의 인재 풀이 충분하지 않다는 점이다. 이에따라 집행위원회를 동수로 구성하려다보니 일부 지역에서는 부적격자나 지역정계에서 문제를 야기했던 인사들이 합류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 출신 관계자는 “시^도당 창당대회를 치른 서울, 경기, 부산, 인천, 광주, 대전, 제주는 양쪽 동수로 인선이 가능하지만, 상당수 지역은 저쪽(안 대표측) 인선에 어려움이 있다”며 “숫자를 맞추려고 집행위를 최대 24명으로 구성하게 한 것도 조직 비대화의 우려를 낳고 있다”고 비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