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장마철 수해 취약지역 저류시설 강화
상태바
장마철 수해 취약지역 저류시설 강화
  • 임형찬기자
  • 승인 2014.05.16 07: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여름철 집중호우에 대비해 서울대에 조성된 6만 5000t 규모의 빗물 저장공간이 올해 처음 활용된다. 서울시는 15일 본격적인 장마철을 앞두고 여름철 풍수해 대책을 전담할 재난안전대책본부를 발족하고 사당역, 강남역, 도림천, 한강로, 광화문 등 5개 특별관리지역의 저류 능력을 강화하는 것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 풍수해 안전대책을 발표했다. 안전대책에 따르면 2011년 하천 범람으로 피해를 본 도림천 일대는 올해부터 서울대 저류 공간의 도움을 받게 된다. 서울대 안에 있는 버들골(2만t), 공대폭포(5000t) 저류 공간은 6월까지 공사가 완료된다. 정문 앞 4만t의 저류 공간은 내년 5월 완공 예정으로 올해는 임시 저류조로 활용된다. 임시 저류조로 활용해 온 광화문 세종로 지하주차장에는 차수문과 집수정이 설치돼 필요할 때 언제든지 저류조로 이용할 수 있게 됐다. 강남역 일대 침수 피해를 줄이고자 서초구 용허리 공원에는 1만 5000t 규모의 빗물 저류조를 설치했다. 시는 또 강남역 사거리 지하에 나란히 붙어 설치된 하수관 사이에 구멍을 낼 계획이다. 하수관 사이에 공간이 생기면 수위가 낮은 하수관으로 빗물이 흘러가게 돼 침수 방지에 도움이 된다. 사당역 일대는 남태령 방향에서 쏟아지는 빗물을 최대 6만 3000t까지 담을 수 있는 사당역 환승센터를 올해도 저류조로 활용하고, 한강로는 용산 만초천의 수위를 높였던 신계동 철도교량 개선으로 침수 피해를 줄일 계획이다. 이와 함께 서울시는 영림초등학교 일대, 을지로입구 등 34개 침수 취약지역에 대해서도 펌프장 증설, 임시 저류조 확보, CCTV 활용 등 대책을 강구했다. 서울시는 풍수해 대응력을 높이고자 홍수 예보·경보 시설을 95개에서 104개로 늘리고, 5단계 하천 수위 경보 기준(둔치주의→둔치 시민대피→홍수주의보→홍수경보→하천범람)에 따라 위험을 알리기로 했다. 시는 폭우나 강풍에 대비해 공사장 타워크레인과 한강 교량 공사장 선박에 대한 특별점검도 실시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