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작년 화장품 무역흑자 첫 6조원 돌파
상태바
작년 화장품 무역흑자 첫 6조원 돌파
  • 김윤미기자
  • 승인 2020.06.17 09: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년 대비 12.4% 증가…8년 연속 흑자

지난해 우리나라 화장품 무역수지 흑자가 처음으로 6조원을 돌파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19년 화장품 무역수지 흑자가 6조1503억원으로 2018년 흑자액 5조4698억원보다 12.4% 증가했다고 16일 밝혔다.

무역수지는 2012년 처음 흑자를 기록한 이후 8년 연속 흑자를 달성했다. 흑자액은 2015년 1조원을 넘어선 데 이어 2018년에는 5조원을 훌쩍 넘는 등 가파른 증가세를 보여왔다.

지난해 화장품 수출은 65억2479만 달러(7조6086억원)로 전년 62억6019만 달러(6조8898억원) 대비 4.2% 증가했다. 수출액은 최근 5년간(2015∼2019년) 평균 성장률 26.0%를 기록하며 빠른 성장세를 보였다. 수입은 지난해 12억558만 달러(1조4583억원)로 전년 12억9026만 달러(1조4200억원)보다 3.1% 감소했다.

국가별 수출실적을 보면 중국이 30억6015만 달러(3조 5685억원)로 전년도에 이어 1위를 차지했고, 그 뒤로는 홍콩, 미국, 일본 등의 순으로 수출실적이 높았다.

특히 러시아 등 북방국가의 수출 증가가 눈에 띄었다. 러시아연방 수출액은 34.1% 증가했고, 우크라이나와 키르기스스탄 수출액은 각각 117.3%, 111.3% 증가했다.

수출 시장은 호주와 유럽 등 세계 각지로 다변화했다. 일본과 베트남, 영국, 호주 수출액은 전년 대비 각각 32.7%, 32.7%, 8.5%, 22.9% 증가했다.

우리나라가 화장품을 가장 많이 수입한 국가는 프랑스(3억7636만 달러, 4389억원)였으며, 그 뒤로 미국, 일본, 태국, 독일 등의 순이었다.

국가별로 화장품 수출 규모를 비교해 보면 우리나라는 2017년부터 3년 연속 세계 4위를 기록하고 있다. 1위는 프랑스, 2위는 미국, 3위는 독일이다.

지난해 화장품 생산실적은 16조2633억원으로 전년 15조5028억원 대비 4.9% 증가했다. 유형별로는 기초화장용이 9조8123억원(60.33%)으로 가장 많았고, 그 뒤로 색조 화장용(2조1338억원, 13.12%), 두발용(1조8800억원, 11.56%), 인체 세정용(1조5786억원, 9.71%) 순이었다.

업체별로는 엘지생활건강이 4조9603억원(30.50%)으로 1위를 차지했고, 그 뒤로 아모레퍼시픽 4조9154억원(30.22%), 애경산업 3751억원(2.31%), 코리아나화장품 2332억원(1.43%), 카버코리아 2162억원(1.33%) 순이었다.

지난해 기능성 화장품 생산실적은 5조3448억원으로 전년(4조9803억원)보다 7.3% 증가했고, 2015∼2019년 평균 성장률도 8.5%로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다.

기능성 화장품 가운데 미백·주름·자외선차단 중 한 가지 기능을 나타내는 제품의 생산실적은 3조122억원으로 전년(2조6930억원)보다 15.2% 증가했지만, 두 가지 이상 기능을 가진 제품의 생산실적은 전년 대비 2.0% 감소했다.

 

[전국매일신문] 김윤미기자
kym@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