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남양주 왕숙·고양 창릉 서울 접근성 더 높인다
상태바
남양주 왕숙·고양 창릉 서울 접근성 더 높인다
  • 김윤미기자
  • 승인 2020.12.29 14: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토부, 왕숙·창릉 교통대책 확정
강동~하남~남양주 도시철도 연장
2조3천억 투입…2028년 개통 목표
고양~은평 도시철도 등 16개 사업
2조2천억 투입…GTX-A 창릉역 신설
국토교통부가 남양주 왕숙·고양 창릉 교통개선대책을 확정했다. 남양주 왕숙 광역교통개선대책 [국토교통부 제공]
국토교통부가 남양주 왕숙·고양 창릉 교통개선대책을 확정했다. 남양주 왕숙 광역교통개선대책 [국토교통부 제공]

서울 강동∼하남∼남양주를 잇는 도시철도 9호선 연장사업이 추진된다. 또 고양 창릉지구에는 고양∼서울 은평 간 도시철도 건설과 광역급행철도(GTX)-A 창릉역 신설 등이 추진된다. 이 두 사업에만 총 4조5000억원이 투입된다.

국토교통부는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심의를 거쳐 3기 신도시인 남양주 왕숙과 고양 창릉의 광역교통개선대책을 확정했다고 29일 밝혔다.

총 2조3000억원이 투입되는 남양주 왕숙 광역교통개선대책은 강동∼하남∼남양주 도시철도 등 18개 사업이 확정됐다. 2028년 개통이 목표다. 또 경춘선 역사(GTX-B 정차) 및 경의중앙선 역사를 신설하고 상봉∼마석 간 셔틀 열차를 운행한다.

이와 함께 남양주∼서울 간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강변북로 대중교통 개선 사업도 반영했다. 특히 BTX(Bus Transit eXpress)를 구축해 오전 출근 시 왕숙지구∼강변역까지 이동시간이 30분가량 줄어들 전망이다.

교통수요 분산 등을 위해 선동IC와 풍물마을을 잇는 한강교량(수석대교)을 건설하고 올림픽대로(강일IC∼선동IC, 암사IC∼강동IC)를 확장하며 강일IC 우회도로도 만든다. 북부간선도로(중랑IC∼구리IC)와 경춘북로(퇴계원 시가지) 및 구국도46호선(왕숙2∼금곡동)의 도로 폭을 넓힌다.

또 지방도383호선 및 진관교(왕숙∼퇴계원) 확장을 추진하고, 왕숙2∼양정역세권과 왕숙2∼다산지구 간 도로를 설치해 주변 지구 간 편리한 접근이 가능하도록 계획이다.

총 2조2000억원이 투입되는 고양 창릉 광역교통개선대책은 고양∼서울 은평 간 도시철도 등 16개 사업이 확정됐다.

고양∼서울 은평 간 도시철도와 GTX-A 창릉역 신설이 추진된다. 철도 소외지역 간 연계를 위해 대곡∼고양시청, 식사∼고양시청 신교통수단 사업도 포함됐다.

사업지구 내 버스전용차로도 설치되며 광역버스 교통체계개선 사업도 반영했다. 또한 화전역 환승시설을 설치하고 중앙로 BRT(대화∼신촌) 정류장과도 연계해 편리한 환승 서비스를 제공한다.

일산∼서오릉로 연결도로를 신설하고 서오릉로를 확장하며 중앙로∼제2자유로 연결로를 만든다. 이와 함께 수색교 확장(7차로→9차로), 강변북로 확장(10차로→12차로), 덕은2교 교차로 개선, 서울 시내 주요 도로 교통체계개선 사업도 시행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광역교통개선대책 확정 후, 주요 사업에 대해서는 공공기관 예비타당성 조사를 거쳐 사업계획을 확정하고, 이와 병행해 인허가 절차 등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전국매일신문] 김윤미기자
kym@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