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서울시 '코로나 타격 계층 살리기' 1조5천억 투입
상태바
서울시 '코로나 타격 계층 살리기' 1조5천억 투입
  • 임형찬기자
  • 승인 2021.02.02 16: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시가 코로나19로 타격을 받은 소상공인 등을 위해 1조4852억원 규모를 지원한다. 1조원 규모의 추가 융자를 제공하고, 1만명에게는 최대 3개월간 150만원의 고용유지지원금을 지급한다.

서정협 서울시장 권한대행은 2일 오전 브리핑에서 ‘민생경제 5대 온기대책’을 발표했다.

서 대행은 “현장의 고충 해결에 충분하지는 않지만 민생경제에 깊게 파인 상처에 새 살을 돋게 하는 처방이 되도록, 고통의 터널을 힘겹게 지나고 있는 자영업자·소상공인들에게 실질적인 힘이 되도록 최선을 다해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우선 시는 집합금지·영업제한으로 피해를 본 업종과 관광·공연예술 업계 등 코로나19로 매출이 급감한 소상공인 등을 대상으로 긴급금융지원에 1조원을 추가 투입한다.

5만명이 한도심사 없이 2000만원, 심사를 거쳐 최대 1억원까지 지원이 가능하도록 문턱을 낮추기로 했다. 지원 조건은 이차보전 0.4%, 보증료 0.9%, 보증률 100%다.

이와 함께 시는 무급휴직 위기에 몰린 1만명에게 월 50만원씩 최장 3개월간 시 차원에서 고용유지지원금을 지급키로 했다. 시 재난기금을 활용해 100% 시비로 충당키로 했다.

관광·공연예술 업계에 일반적인 중소기업이나 소상공인 상대 지원책에 더해 별도로 긴급지원 대책을 마련했다.

관광업계에는 융자지원과 고용유지지원금 이외에도 업체당 100만원의 ‘긴급 생존자금’을 3월 중 현금으로 지원한다. 정부의 3차 재난지원금 대상에서 제외된 5인 이상 소기업을 중심으로 총 1500개사를 지원해 사각지대를 메울 계획이다. 또 비대면·소규모 축제 개최에 75억원, 예술인 및 단체의 창작활동에 21억원 등 총 96억원을 지원한다.

시는 총 4000억  원 규모로 10% 할인한 ‘서울사랑상품권’을 조기 발행키로 했다. 3월에 판매가 시작될 중구를 제외한 나머지 24개 자치구에서 이달 3∼5일 판매가 개시된다.

시는 서울사랑상품권 발행을 분기별로 하려던 계획을 전면 수정해 올해 총 발행액인 8100억원의 50%를 이번에 판매해 얼어붙은 소비심리를 녹이고 소상공인의 매출 증대로 이어지도록 유도키로 했다.

실직 상태인 취업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시와 자치구가 직접 운영하는 공공일자리인 ‘안심일자리’를 상반기에 6378개 만들어 591억원을 지급한다.

안심일자리 업무는 주로 전통시장이나 대중교통 정류장 등 주민들이 많이 이용하는 시설에 대한 생활방역, 환경정비, 안전관리 등이다. 근무 기간은 이달 1일부터 6월30일까지 최대 5개월이다.

[전국매일신문] 임형찬기자
limhc@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