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충남도, 금강하구 생태복원 공론화 '가속도'
상태바
충남도, 금강하구 생태복원 공론화 '가속도'
  • 충남취재본부/ 한상규기자
  • 승인 2021.05.27 09: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민관 협력 토론회…해수순환·기수역 조성 공감대
충남도가 ‘충청의 젖줄’인 금강하구 생태복원을 위해 해수순환을 위한 범국민적 공론화에 나섰다. [충남도 제공]
충남도가 ‘충청의 젖줄’인 금강하구 생태복원을 위해 해수순환을 위한 범국민적 공론화에 나섰다. [충남도 제공]

충남도가 금강하구 생태복원을 위해 해수순환을 위한 범국민적 공론화에 팔걷고 나섰다.

도는 27일 서천군 장항읍사무소에서 도의회서천군전국환경단체 관계자 및 전문가 등이 참석한 가운데 ‘금강하구 생태복원을 위한 민관 협력 토론회’를 개최했다.

금강하굿둑은 길이 1841m로 연간 3억6500만 톤의 용수공급 능력을 갖추고 있다.

하지만 문제는 하굿둑 준공 이후 하천 흐름이 단절되면서 금강호 수질악화와 하굿둑 내외측 퇴적토 등이 누적되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 금강호 수질은 1992년 5.2㎎/L(3등급)에서 2019년 10.7㎎/L(6등급)로 오염이 진행 중이다.

특히 가장 큰 부작용은 생태계 변화이다.

이에 도는 금강하굿둑에 대한 통합적 인식과 함께 이해당사자 간의 협의, 금강하구의 단계별 해수순환 추진, 하구복원특별법 제정 등 종합적인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단기적으로는 하굿둑 상류 3㎞까지 해수순환 및 기수역을 조성, 회유성어류 이동 등 자연성 회복을 추진한다.

중장기적으로는 하굿둑 상류 10㎞까지 해수순환 및 기수역 조성을 확대하고, 취양수장(4개소)을 상류 20㎞내외 지역으로 이설해 해수순환을 도모할 방침이다.

이창희 명지대학교 교수는 주제발표를 통해 “하굿둑 상류 10㎞까지 해수를 유입, 기수역을 복원해야 한다”며 “기수생태계 복원을 위해서는 이해당사자 간의 합의가 필요하며 중앙정부, 지자체, 관련기관, 농어업인 등 거버넌스 구축을 통해 지속적인 협의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억수 금강하구생태복원위원회 운영위원장은 이어진 주제발표에서 “낙동강 하구 개방실험으로 생태계 복원의 효과가 검증된 만큼 다른 유역의 하굿둑으로 개방을 확대해야 한다”며 “금강하구의 생태계 복원을 위한 통합정보시스템 운영 및 해수유통 실증실험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종합토론에서는 금강하구의 문제점 및 대응 과제와 함께 충남과 전북지역의 민관 협력 방안 등이 논의됐다.

도 관계자는 “금강하구의 지속가능한 생태복원을 위해서는 하굿둑 해수순환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앞으로 해수환의 필요성에 대해 전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정부의 그린뉴딜 사업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도는 금강하굿둑 생태환경에 대한 공론화를 위해 오는 8월경 국회토론회를 여는 동시에 ‘하구의 복원 및 관리에 관한 특별법’ 발의 및 제정을 위한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전국매일신문] 충남취재본부/ 한상규기자
hansg@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