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돈 없는'예비후보,억소리 나는 여론조사 경선비용에 한숨
상태바
'돈 없는'예비후보,억소리 나는 여론조사 경선비용에 한숨
  • 서정익기자
  • 승인 2016.02.22 07: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여야가 안심번호를 이용한 국민경선 방식으로 20대 총선 후보자를 선정하기로 하면서 예비후보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안심번호 제공부터 여론조사 경선까지 들어가는 막대한 비용을 모두 자신의 호주머니를 털어 마련해야 하기 때문이다.
 더구나 본선 경쟁에서 사용한 비용은 선거에서 일정 비율 이상을 득표하면 보전받을 수 있지만, 당내 경선 등 예선전에 투입된 비용은 돌려받을 길도 없다.
 우선 이동통신사로부터 여론조사 경선에 필요한 안심번호를 추출받는 데부터 돈이 들어간다.
 현재 이통사가 제시한 안심번호 1개당 비용은 330원선이다. 새누리당의 경우 아직 한 지역구당 여론조사 대상수는 결정되지 않았지만 500명에서 1천명 사이가 고려되고 있다.
 만약 1000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한다고 가정하고, 여론조사 응답률이 현저히 낮은 점까지 고려하면 적어도 3만개 정도의 안심번호가 필요할 것으로 새누리당 관계자들은 전망하고 있다. 이 경우 이통사에서 안심번호를 받는데만 990만원이 들어가게 된다.
 실제 여론조사에 들어가는 비용도 별도로 추가된다. 보통 여론조사 1건당 비용이 1만 2000원∼1만 5000원 사이인 점을 감안하면 1000명을 여론조사하는 데 드는 비용은 최대 1500만원 정도다. 문항수가 늘수록 조사 비용도 증가한다.
 새누리당은 1,2위 후보의 지지율이 오차범위 이내일 경우 결선투표제를 도입하고 있어 결선까지 치르게 되면 여론조사 경선에만 약 4000만원이 필요하다.
 더불어민주당도 사정은 비슷하다.
 더민주는 지역구별로 5만건의 안심번호를 추출받을 예정이어서 안심번호 확보 비용만 1650만원이고 지역별 여론조사 비용 약 1500만원을 합하면 경선비용이 3000만원 가량 들어간다.
 더민주도 경선에서 과반 득표자가 없는 경우 1,2위를 대상으로 결선 투표를 치르기 때문에 경선 비용은 4500여만원까지 뛸 수 있다.
 더민주 소속으로 서울지역 경선을 준비중인 예비후보는 “선거는 공영제가 원칙인데, 예비후보들의 경선에 대해서 공영제가 적용이 되지 않는다”며 “여론조사 비용이 개인이 부담하는 상황으로 고충이 많다”고 호소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