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중랑구, 봉화산 정상 아차산 봉수대에 ‘불 지폈다’
상태바
중랑구, 봉화산 정상 아차산 봉수대에 ‘불 지폈다’
  • 이신우기자
  • 승인 2021.11.18 09: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봉수거화 재현식…순국선열의 날 독립운동가 기상·정신 되새겨
아차산 봉수대 터 봉수거화 재현식 모습. [중랑구 제공]
아차산 봉수대 터 봉수거화 재현식 모습. [중랑구 제공]

서울 중랑구(구청장 류경기)는 전날 봉화산 정상 아차산 봉수대 터에서 처음으로 봉수거화 재현식을 개최했다고 18일 밝혔다.

구에 따르면 이번 봉수의식 재현 행사는 일제강점기 만세운동에 봉수를 활용했던 독립운동가들의 정신을 되새기기 위해 순국선열의 날에 개최돼 의미를 더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흥겨운 민요와 타령, 전통 무예인 택견 시범을 축하공연으로 문을 열었다. 거화의식은 별장과 봉군 등으로 구성된 근무조와 교대조가 이끌었다. 봉수대를 경비하는 수위의식과 봉수대 주변을 순찰하는 순라의식을 시작으로 교대의식이 이어진 뒤 1거(평사시 거화)를 올렸다.

재현식에 참석한 류경기 구청장은 “봉화산은 봉수대와 함께 봉화산 도당굿의 역사를 간직한 뜻깊은 장소”라며 “이번 봉수 거화 재현식을 계기로 앞으로도 지역 문화유산을 활용한 사업은 물론 문화유산 발굴 및 정비, 관리에도 더욱 힘쓰겠다”고 말했다.

한편 봉화산 정상(해발 160m)에 위치한 아차산 봉수대 터(서울특별시 기념물 제15호)는 조선시대 제5대 봉수로 중 제1로에 속하는 봉수로 함경도에서 온 봉수를 최종 목멱산까지 전달하는 과정의 마지막 봉수로 북방민족의 침입을 알리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현재 아차산 봉수대 터는 소실돼 터만 남아있던 것을 지난 1994년 서울정도 600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복원했다.

 

[전국매일신문] 이신우기자
leesw@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