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동해항, 러 우크라이나 침공에 북방교역 '먹구름'
상태바
동해항, 러 우크라이나 침공에 북방교역 '먹구름'
  • 동해/ 이교항기자 
  • 승인 2022.03.03 16: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러시아 30배 수출 증가세 속 경제재재 영향 촉각
“거래방식 다양화 등 최악 시나리오 대비해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강원 동해항을 통한 북방교역이 위기에 빠질 수도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사진은 동해시청사 전경. [동해시 제공]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강원 동해항을 통한 북방교역이 위기에 빠질 수도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사진은 동해시청사 전경. [동해시 제공]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모처럼 활력을 되찾고 있던 강원 동해항을 통한 북방교역이 위기에 빠질 수도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3일 북방물류산업진흥원에 따르면 올 들어 동해항을 통한 수출은 지난해에 이어 호조세를 지속하고 가운데 올 1월 동해항의 수출실적은 673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두 배 이상인 117%의 증가세를 기록했다.

이 가운데 대러 수출은 1473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무려 30배나 증가한 3010%의 폭증세를 기록했다. 국가별 수출액으로는 합금철 수출이 호조를 보인 미국에 이어 두 번째다. 

건설기계, 차량, 미용용품 등이 주요 품목으로 특히 화장품, 샴푸, 미용기기 등의 미용용품 수출은 244만 달러를 기록, 단일품목으로는 세 번째로 큰 비중을 차지했다. 

동해항의 전통적인 수출품목인 건설기계나 차량과 달리 미용용품은 근래 세계적으로 뜨거운 K뷰티 열풍이 러시아 연해주 지방에도 불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다.

또 러시아 크랩류의 수입도 호조를 보이고 있는데 올 1월 수입액은 4453만 달러를 기록, 전년 대비 25%의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런 가운데 최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국제사회가 러시아에 대한 제재를 결의하고 한국 정부도 러시아 경제제재에 동참하기로 결정하면서 이와 같은 동해항의 무역호조가 꺾일 수도 있다는 우려섞인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특히 경제제재의 일환으로 러시아 은행들을 은행 간 국제결제 시스템인 스위프트(SWIFT)에서 배제하겠다는 것이 국제사회의 방침으로 수출기업들은 수출대금 회수가 곤란해지고 수입업체들은 수입대금의 송금 문제가 대두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 동해항에서 한·러·일 페리를 운영하고 있는 두원상선에 따르면 지금 당장은 러시아 교역에 큰 문제가 없지만 국내 화주기업들로부터 이달 중순 이후에는 대러 수출이 곤란해질 수도 있다는 연락을 받고 있다면서 사태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진흥원 관계자는 “북방교역은 국내외 정치적 변화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기 때문에 기회요인과 위협요인을 동시에 안고 있는 것이 숙명”이라면서 “교역 대상국가의 다양화, 결제방식의 다양화, 거래처와의 신뢰 구축을 통한 구상무역 등 거래방식의 다양화 등 평소부터 최악의 시나리오에 대한 대비를 해 둘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전국매일신문] 동해/ 이교항기자 
leekh@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