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전국 13번째' 춘천 강소연구개발특구 신규지정...바이오 의약 신소재 특화
상태바
'전국 13번째' 춘천 강소연구개발특구 신규지정...바이오 의약 신소재 특화
  • 춘천/ 이승희기자 
  • 승인 2022.05.03 16: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26년까지 국비 등 230억 투입
춘천시청사 전경.
춘천시청사 전경.

강원 춘천 강소연구개발특구가 전국 13번째 특구로 신규 지정이 확정됐다.

이번 특구 지정에 따라 국비 160억 원을 포함 총사업비 230억 원을 투입해 오는 2026년까지 바이오 의약 신소재 특화분야 기술사업화 거점을 마련한다.

시에 따르면 제42차 연구개발특구위원회는 전날 2022년도 강소연구개발특구 신규 지정안을 심의·의결해 강원 춘천과 인천이 특구로 최종 확정됐다고 3일 밝혔다.

이번 특구 지정으로 특구 내 연구소기업, 첨단기술기업의 법인세, 취득세, 재산세 등 세금감면 혜택은 물론 기술사업화 지원 신기술 실증 특례 적용 등의 혜택이 주어진다.

시의 경우 바이오 의약 신소재 기술사업화를 통한 신성장 동력을 창출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생산유발효과는 6569억 원, 부가가치유발효과 3264억 원, 고용유발효과 7738명이 예상된다.

기술핵심기관은 강원대로, 기구축된 창업 지원 플랫폼을 개방해 기술창업을 활성화한다.

또 특구 내 소재한 춘천바이오산업진흥원 등 혁신기관을 통해 기술사업화 전단계에 걸친 바이오·의약 분야 맞춤형 실증 테스트베드를 지원한다.

특히 강원대 기술지주회사 중심으로 조성된 728억 원 규모의 강원권 지원 펀드를 통해 지역 기반의 강원 춘천 강소특구 투자 생태계 조성하고 지역 내 임상기관과 서울홍릉, 경남김해 등 바이오분야 강소특구와의 협업을 통해 ‘중개연구-임상-생산’ 연계 채널을 구축한다.

전진표 시장 권한대행은 “춘천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코로나19 진단, 백신, 치료제 개발과 생산 등으로 전주기 산업기반을 갖추고 있다”며 “특구 지정으로 배후공간인 춘천바이오타운과 남춘천, 후평산업단지, 거두농공단지에 기업 유치와 바이오산업 시장 선점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국매일신문] 춘천/ 이승희기자 
leesm@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