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尹정부, 첫 대장인사서 육사 '부활'…'한미동맹 강화' 기조
상태바
尹정부, 첫 대장인사서 육사 '부활'…'한미동맹 강화' 기조
  • 이신우기자
  • 승인 2022.05.25 10: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승겸, 직전 연합부사령관→합참의장으로…육군대장 5명중 4명이 육사
해·공군총장 포함 7명 전원 교체…'기수파격' 보단 '안정'에 무게
윤석열 대통령이 25일 오전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와 관련 국가안보회의(NSC)에 참석하기 위해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로 출근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25일 오전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와 관련 국가안보회의(NSC)에 참석하기 위해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로 출근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정부 첫 합참의장에 육사 42기 출신 김승겸 현 연합부사령관이 발탁됐다.

또한 9년 만에 육사 출신 합참의장을 임명하는 등 '육사'를 부활'시켰다.

이는 새 정부의 '한미동맹 강화' 의지가 반영된 것이자 북핵·미사일 위협 속 '기수 파격' 대신 안정에 방점을 둔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정부는 25일 4성 장군 인사에서 합참의장에 김승겸(대장·육사 42기) 부사령관에 내정하고, 연합부사령관에 안병석(육사 45기) 육군참모차장, 육군참모총장에 박정환(육사 44기), 지작사령관에 전동진(육사 45기) 합참 작전본부장, 2작사령관에 신희현(학군 27기) 3군단장 등 중장 4명을 임명했다.

특히 합참의장에 육사 출신이 중용된 건 9년 만으로, 육사 출신은 이명박 정부 때인 2011∼2013년 제37대 정승조 합참의장이 마지막이었다.

윤석열 정부 첫 합참의장에 김승겸 연합부사령관 [국방부 제공]
윤석열 정부 첫 합참의장에 김승겸 연합부사령관 [국방부 제공]

이후 박근혜 정부 때는 최윤희(해사 31기)·이순진(3사 14기), 문재인 정부는 정경두(공사 30기)·박한기(학군 21기)·원인철(공사 32기) 등이 잇따라 합참의장을 지냈다.

합참의장을 포함해 육군 대장급 5명 가운데 2작사령관을 제외하고 나머지 4개 대장 보직에 육사 출신을 기용해 육사 부활 기조가 뚜렷하다.

정부 출범 초기인 데다 북핵·미사일 위협이 고도화되고 있는 점을 고려해 지휘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새 정부 첫 군 수뇌부 인사에서 대장급 7명 전원이 교체됐따.

해·공군참모총장에는 각각 이종호(해사 42기) 합참 군사지원본부장, 공군참모총장에 정상화(공사 36기) 합참 전략기획본부장을 낙점했다.

육사로 치면 두 사람 모두 육사 44기 대우다.

김정수 현 해군총장과 박인호 공군총장은 각각 취임 약 6개월, 11개월 등 1년을 다 채우지 못하면서 역대 최단기간으로 해군총장이 교체됐다.

이에 대해 국방부 관계자는 "신임 해·공군총장은 육사로 치면 44기 대우"라며 박정환 신임 육군총장의 기수를 고려한 것이라는 취지로 설명했다.

4성 장군 7명이 한꺼번에 교체된 것과 관련해서도 "이전 정부에도 그런 사례가 여러 번 있었다"고 강조했다.

한편 정부는 이날 4성 장군 인사를 단행하면서 안보지원사령관도 교체한다고 발표했다. 향후 중장급 인사 단행 시까지 황유성 소장이 대리보직할 예정이다.

[전국매일신문] 이신우기자 
leesw@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