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무한 추구하라. 도전 없는 성공은 없다.”
상태바
“무한 추구하라. 도전 없는 성공은 없다.”
  • 의령/ 최판균기자 
  • 승인 2022.10.26 17: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부왕’ 이종환 회장 생가, 의령 리치리치페스티벌 기간 개방
창덕궁 부용정 재현 ‘관정헌’ 백미
경남 의령군 리치리치페스티벌 기간 동안 용덕면 정동리 소재 이종환 생가가 개방된다. [의령군 제공]
경남 의령군 리치리치페스티벌 기간 동안 용덕면 정동리 소재 이종환 생가가 개방된다. [의령군 제공]

‘1조 기부왕’으로 불리며 ‘아시아 최대 장학재단’을 운영하는 관정 이종환 회장 생가가 3년만에 개방됐다.

경남 의령군은 리치리치페스티벌 기간 용덕면 정동리 소재 이종환 생가가 다시 문이 열린다고 26일 밝혔다. 다만 지난 24일부터 내달 6일까지 10시부터 17시까지만 개방된다.

지난 2014년 이종환 삼영화학그룹 명예회장은 서울대에 도서관 신축 비용 600억을 기부했고 서울대는 새 도서관 명칭을 이 회장의 호를 따서 ‘서울대 관정 도서관’으로 정하고 뜻을 기려 생가에 송덕비를 세웠다.

생가 규모는 6100㎡(1840평)으로 안채와 사랑채 등 가옥만 6채다. 몇백 년 된 소나무와 향나무, 수심을 알 수 없는 고요한 연못이 자리잡고 있다.

백미는 ‘관정헌’이다. 창덕궁 후원의 ‘부용정’을 복원한 목수가 관정헌에 부용정을 그대로 재현했다. 창덕궁 부용정보다 규모는 30% 크게 해서 관정헌을 지었다. 창덕궁 부용정은 연못 속에 돌기둥을 박아 그 위로 누각을 끌어내 짓고 주변 향나무를 심었는데 관정헌 역시 같은 모양새다.

생가 안에는 이종환 회장의 흉상이 보이고 ‘무한추구하라. 도전 없는 성공은 없다’는 말을 새긴 비석이 새겨져 있다. 기업가로서 경제 성장에 이바지하고 교육재단을 설립해 평생을 인재 양성에 앞장선 그의 삶을 반추해 볼 수 있다.

생가 뒤편에는 가칭 ‘관정 이종환 100주년 기념관’ 건립이 한창이다.

김영곤 관리소장은 “형태와 재료, 기법까지 전통 방식을 따른 대한민국 최고의 한옥 건물로 지어지고 있다”며 올해 안 완공이 목표라 전했다. 이어 “볼거리는 물론 관정 이종환 선생의 인생을 기록하고 배움의 공간으로 만들어질 구상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생가가 공개된다는 소식에 ‘부자 기운’을 받으려는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생가 안의 자연환경 훼손, 기념관 공사가 현재 진행되는 상황 등의 여러 현실적인 문제로 개방이 불허했으나 부자축제의 의미에 공감해 관정재단 측에서 전격 개방을 결정했다.

오태완 군수는 “군은 ‘관정이종환대로’를 명예도로로 지정할 만큼 이종환 회장에 대한 애정이 깊다”며 “관광객들에게 축제 기간 호암 이병철 생가와 함께 두 곳의 생가 투어를 계획해 보시는 걸 추천한다”고 말했다.

[전국매일신문] 의령/ 최판균기자 
chpag@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