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한국지방재정공제회, 제1회 지방재정 국제 컨퍼런스 트리엔날레 ‘성황’
상태바
한국지방재정공제회, 제1회 지방재정 국제 컨퍼런스 트리엔날레 ‘성황’
  • 홍상수기자
  • 승인 2022.12.05 15: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제 ‘지방소멸 대응을 위한 지방재정의 역할‘…지자체 관계자 600여명 참석
이인재 이사장 "지방재정 분야 대표 국제 컨퍼런스로 자리매김 할 것"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컨퍼런스 센터에서 개최된  ‘제1회 지방재정 국제 컨퍼런스 트리엔날레’ 개회식에서 이인재 한국지방재정공제회 이사장(가운데) 및 마츠바라 히로시 후쿠이현립대학교 특명교수(오른쪽), Jason Allford 세계은행 한국사무소 대표(왼쪽) 등 국내·외빈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국지방재정공제회 제공]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컨퍼런스 센터에서 개최된 ‘제1회 지방재정 국제 컨퍼런스 트리엔날레’ 개회식에서 이인재 한국지방재정공제회 이사장(가운데) 및 마츠바라 히로시 후쿠이현립대학교 특명교수(오른쪽), Jason Allford 세계은행 한국사무소 대표(왼쪽) 등 국내·외빈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국지방재정공제회 제공]

한국지방재정공제회(이사장 이인재)가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에서 ‘제1회 지방재정 국제 컨퍼런스 트리엔날레’를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5일 밝혔다.

이 행사는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인구 감소로 이어진 한국의 지방소멸 위기 해법을 모색하기 위한 자리였다.

‘지방소멸 대응을 위한 지방재정의 역할’을 주제로 국·내외 지방재정 분야 석학들이 발제와 토론을 진행했다. 

지방자치단체 관계자 등 600여 명이 참석했고 오프라인과 동시에 유튜브로 실시간으로 볼 수 있도록 하이브리드 컨퍼런스로 진행됐다.  

개회식에는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이채익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위원장, 이철우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장,조재구 대한민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장, Jason Allford 세계은행 한국사무소 대표, 김일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원장, 최치국 지방공기업평가원 이사장이 온·오프라인 축사를 했다.

프로그램은 특별세션 ‘사회적 자본’ 제1세션 공제사업, 제2세션 공유재산, 제3세션 옥외광고, 제4세션 지방회계, 제5세션 지방계약, 제6세션 지방투자로 진행됐다.

특별세션에는 로버트 퍼트남(Robert D. Putnam) 하버드대학교 교수가 ‘사회적 자본 활용을 통한 지역 공동체 회복’을 주제로 발제를 진행했다. 퍼트남 교수는 사회적 자본의 개념을 정의하고, 미국의 풀뿌리 혁신인 ‘업스윙(Upswing)’ 사례를 설명하며 사회적 자본 형성을 위해서는 ‘우리’라는 개념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조연설은 마츠바라 히로시(Matsubara Hiroshi) 후쿠이현립대학교 특명교수가 ‘일본의 지방창생시책과 포섭적 성장의 과제’를 주제로 진행했다. 이후 라운드테이블 좌장으로 참석하여 일본의 ‘지방창생교부금’ 사례와 ‘2022년 한국에서 신설된 ‘지방소멸대응기금’을 비교 분석하며 ‘지방소멸 대응을 위한 지방재정의 역할’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이인재 이사장은 “이번 행사가 ‘살기좋은 지방시대’를 만들기 위한 초석을 마련하고, 대한민국의 지방재정정책과 관련한 미래 비전을 공유하는 글로벌 네트워크의 장이 되기를 바란다”며 지속적인 개최를 통해 지방재정 분야 대표 국제 컨퍼런스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말했다. 

행사 후원은 행정안전부,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대한민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한국지방재정학회, 한국정부회계학회, 한국지방계약학회, 한국공유재산학회, 한국리스크관리학회, 한국광고홍보학회가 참여했다.

한편, 지방재정공제회는 올해 신설된 지방소멸대응기금(연간 1조원, 10년간 10조원 규모)을 행정안전부로부터 위탁받아 지자체가 위기 대응 정책을 시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전국매일신문] 서울/ 홍상수 기자
HongSS@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