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신규확진 4만6766명…실내마스크 의무해제 '중국 상황' 변수로
상태바
신규확진 4만6766명…실내마스크 의무해제 '중국 상황' 변수로
  • 홍상수기자
  • 승인 2023.01.08 10: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주보다 1만여명 감소…마스크 조정 기준 충족
위중증 526명·사망 34명 확진자 감소세·의료역량 충족
서울 동대문구 보건소 선별진료소에서 시민들이 검사를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 동대문구 보건소 선별진료소에서 시민들이 검사를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8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4만명대 중반대로 집계됐다.

최근 확진자 감소세 등 정부가 실내마스크 의무 해제의 조건으로 제시했던 4개 지표 중 2개 이상이 충족된 것으로 평가되는 가운데 중국 코로나19 상황이 변수가 되고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확진자가 4만6천766명 늘어 누적 2천952만600명이 됐다고 밝혔다.

이날 신규 확진자 수는 전날(5만3천807명)보다 7천41명 적다. 1주일 전인 지난 1일(5만7천501명)보다는 1만735명, 2주일 전인 지난달 25일(5만8천411명)보다는 1만1천645명 줄었다.

지난 2일부터 이날까지 1주일간 일일 신규 확진자 수는 2만2천724명→8만1천39명→7만8천554명→6만4천94명→5만6천954명→5만3천807명으로→4만6천766명으로, 일평균 5만7천705명이다.

이날 신규 확진자 중 해외유입 사례는 132명으로 전날(219명)보다 87명 적다. 신규 해외유입 확진자 중 78%인 103명이 중국에서 입국한 이들이다.

이는 공항에서 검사를 받고 확진된 단기체류 외국인에 거주지 보건소에서 검사받은 중국발 내국인, 장기체류 외국인 확진자가 포함된 수치다.

해외유입 사례를 제외한 국내 지역감염 사례는 4만6천634명이다.

지역별 확진자 수(해외유입 포함)는 경기 1만2천298명, 서울 7천824명, 인천 3천74명, 경남 3천59명, 부산 3천38명, 경북 2천285명, 충남 2천97명, 대구 2천14명, 전북 1천825명, 전남 1천597명, 충북 1천443명, 광주 1천373명, 울산 1천343명, 대전 1천272명, 강원 1천226명, 제주 529명, 세종 441명, 검역 28명이다.

재원 중인 위중증 환자 수는 전날(544명)보다 18명 적은 526명이다. 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전날 오후 5시 기준으로 39.8%다.

전날 사망자는 34명으로 직전일(60명)보다 26명 적다. 누적 사망자는 3만2천590명, 누적 치명률은 0.11%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23일 실내마스크 착용 의무 조정 발표 당시 권고로 전환하는 조건으로 ▲환자 발생 안정화 ▲위중증·사망자 발생 감소 ▲안정적 의료대응 역량 ▲고위험군 면역 획득 등 4개 지표를 제시하며 이들 지표 중 2개 이상이 충족될 때 중대본 논의를 거쳐 1단계 의무 해제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참고치가 되는 개별 기준은 구체적으로 ▲주간 환자 발생 2주 이상 연속 감소 ▲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 전주 대비 감소·주간 치명률 0.10% 이하 ▲4주 내 동원 가능 중환자 병상 가용능력 50% 이상 ▲동절기 추가 접종률 고령자 50%·감염취약시설 60% 이상 등이다.

주간 신규 확진자 수는 12월 3주(12월 18일∼24일) 47만1천195명에서 12월 4주(12월25일∼31일) 45만8천709명, 1월 1주(1월1일∼7일) 41만4천673명으로 최근 2주 연속 감소했다.

의료대응 역량인 중환자 병상 가용능력은 12월 말 당시에도 68.7%로 참고치를 넘겨 기준에 충족한 상태였다. 주간 치명률도 0.10% 이하로 유지되고 있다.

중국 코로나19 유행 확산에 대응해 입국자 방역규제를 강화한 상황이라, 중국 변수가 막판까지 일상회복에 고비가 될 전망이다.

방대본은 이날 "마스크 착용 의무 조정 지표 충족 여부와 함께 신규 변이 및 해외 감염확산 상황에 따른 국내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1단계 조정 시행 여부를 중대본에서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전국매일신문] 홍상수기자
HongSS@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