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방일 野의원들 "국제연대로 사도광산 유네스코 등재 막을 것...인권유린 역사 은폐"
상태바
방일 野의원들 "국제연대로 사도광산 유네스코 등재 막을 것...인권유린 역사 은폐"
  • 이현정기자
  • 승인 2023.04.09 17: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안민석·임종성·양정숙, 도쿄 산업유산정보센터 앞에서 기자회견
"미래지향적 한일관계 위해 일본은 역사왜곡하지 말고 진실 밝혀야"
일본을 방문 중인 야권 국회의원 3명이 9일 도쿄 산업유산정보센터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사도광산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막겠다고 다짐했다. 성명서 낭독 중인 임종성(정중앙 왼쪽) 의원과 안민석(정중앙), 양정숙(정중앙 오른쪽) 의원의 모습. [도쿄=연합뉴스]
일본을 방문 중인 야권 국회의원 3명이 9일 도쿄 산업유산정보센터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사도광산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막겠다고 다짐했다. 성명서 낭독 중인 임종성(정중앙 왼쪽) 의원과 안민석(정중앙), 양정숙(정중앙 오른쪽) 의원의 모습. [도쿄=연합뉴스]

일본을 방문 중인 야권 국회의원 3명이 9일 도쿄 산업유산정보센터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사도광산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막겠다고 다짐했다.

더불어민주당 안민석, 임종성 의원과 무소속 양정숙 의원은 이날 오후 기자회견에서 발표한 성명서에서 "일본의 사도광산 유네스코 재등재 신청이 유네스코 정신에 맞지 않으므로 사도광산의 강제동원을 왜곡한 역사가 유네스코에 등재되지 않도록 국제적인 연대를 계속 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어 "일본은 사도광산을 유네스코에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 신청하면서 조선 노동자에게 가해진 강제동원, 강제노동에 대한 인권 유린의 역사적 사실을 은폐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일본 정부가 조선인 강제동원을 은폐하기 위해 사도광산의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신청하면서 대상 기간을 에도(江戶)시대(17세기∼19세기 중반)로 한정했다는 지적이다.

이들 3명의 의원은 "한일관계가 미래지향적으로 형성되기 위해서는 (일본이) 더 이상 역사를 왜곡하지 말고 진실을 밝혀야 한다"며 "일본은 사도광산 유네스코 등재 신청을 철회하라"고 강조했다.

일본을 방문 중인 야권 국회의원 3명이 9일 도쿄 산업유산정보센터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사도광산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막겠다고 다짐했다. 하시마(端島, 일명 '군함도') 조선인 강제동원 역사를 왜곡했다는 지적을 받는 산업유산정보센터의 현판. [연합뉴스]
일본을 방문 중인 야권 국회의원 3명이 9일 도쿄 산업유산정보센터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사도광산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막겠다고 다짐했다. 하시마(端島, 일명 '군함도') 조선인 강제동원 역사를 왜곡했다는 지적을 받는 산업유산정보센터의 현판. [연합뉴스]

안 의원은 기자회견 장소인 산업유산정보센터에 또 다른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하시마(端島, 일명 '군함도')와 관련한 기록이 있다면서 "(해당 기록에는) 조선인 차별은 없었고 한국인과 일본인이 대동아공영을 위해 협력한다며 역사를 날조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유네스코도 강력히 권고하고 있는 조선인 강제징용 기록에 대해 일본이 약속을 이행할 것을 촉구하기 위해 이 자리에 섰다"고 말했다.

일본은 2015년 군함도 등 23개 메이지(明治·1868년∼1912년) 산업혁명 유산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면서 조선인 강제동원의 역사를 기억할 수 있는 시설을 만들겠다고 약속했지만, 그 일환으로 2020년에 설립된 산업유산정보센터에는 일본인과 조선인 차별이 없었다는 현지 주민 증언 등이 전시돼 일본이 약속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한편 이들은 오는 6월에는 프랑스 파리에 있는 유네스코를 방문해 사도광산의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저지하는 활동을 이어갈 예정이다.

일본 정부는 작년 2월 사도광산의 세계유산 등재 신청서를 냈으나, 서류상 미비점이 확인돼 이를 보완한 신청서를 올해 1월에 다시 제출했다.

[전국매일신문] 이현정기자
hj_lee@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