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北, '월북 미군'에 경위 조사 뒤 미국 반응 예의주시
상태바
北, '월북 미군'에 경위 조사 뒤 미국 반응 예의주시
  • 이신우기자
  • 승인 2023.07.19 10: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동경비구역 견학중 고의로 무단 월북…北 매체 '조용'
적막감 흐르는 판문점. [연합뉴스 자료사진]
적막감 흐르는 판문점. [연합뉴스 자료사진]

북한이 미군 병사의 무단 월북사태에 어떻게 나올지 관심이다.

19일 미 국방부 등에 따르면 주한미군 소속 트래비스 킹 이등병이 전날 공동경비구역(JSA)을 견학하던 중 고의로 무단 월북했다.

이날 오전까지 북한 매체엔 이 사건에 대한 아무런 보도도 나오지 않고 있다.

북한은 월북 미군의 신원을 조사하고 입북 동기와 배경, 자발적 월북의 진위 등을 따져보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2009년 12월 24일 재미교포 인권운동가 로버트 박이 입북하자 북한은 그를 억류하고서는 닷새 뒤 조선중앙통신 보도로 억류를 공식 확인한 바 있다.

이후 억류 42일 만이던 2010년 2월 5일 다시 조선중앙통신이 그의 석방 결정 소식을 전했고, 로버트 박은 다음 날 중국으로 풀려났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총장은 "북한으로서도 갑작스러운 사건이므로 신원 조사 등 절차를 밟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사를 마친 뒤 북한은 미군이 자진 월북했다며 체제 선전에 활용하려 들 가능성이 있다.

본인의 의사에 반해 장기 억류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는 대개 북한에서 재판받는 경우다.

2012년 11월 입북 및 억류돼 15년 노동교화형을 선고받고 수감됐다가 2014년 11월이 돼서야 풀려난 한국계 미국인 선교사 케네스 배(한국명 배준호)가 대표적이다.

월북 미군 병사가 한국에서 폭행 혐의로 체포된 전력이 있고 추가 징계를 위해 미국으로 이송될 예정이었다는 외신 보도 등을 고려하면 북한이 그를 받아들이지 않고 되돌려보낼 가능성도 작진 않다.

과거 억류된 미국인을 데려오기 위해 미국의 고위급 인사가 직접 방북해 협상에 나선 전례로 보아 북한이 월북 병사를 돌려보내려 한다면 그 과정에서 이를 대미 협상 카드로 활용하려 할 공산이 크다. 

북한이 미군 월북 사태를 미국과 대화의 계기로 삼고자 한다면 도발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북한은 이날 새벽 한미 핵협의그룹(NCG) 첫 회의와 미국 전략핵잠수함(SSBN)의 국내 기항 등에 반발해 탄도미사일을 기습 발사했지만, 이는 계획된 일정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는 월북 미군 카드를 적절히 활용하면서 도발 페이스를 조절할 수도 있지 않겠느냐는 의미다.

[전국매일신문] 이신우기자 
leesw@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