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5대은행 가계대출 21개월만에 '최대폭 증가'…연체율 2년새 두배
상태바
5대은행 가계대출 21개월만에 '최대폭 증가'…연체율 2년새 두배
  • 김지원 기자
  • 승인 2023.09.03 09: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8월 1.6조↑…50년만기 논란에 월말 닷새만에 주담대 1.6조 이상↑
5대 은행의 가계대출이 1년 9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전체 대출 연체율까지 지난해의 약 두 배 뛰었다. 사진은 서울의 한 은행 대출 창구 앞. [연합뉴스 자료사진]
5대 은행의 가계대출이 1년 9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전체 대출 연체율까지 지난해의 약 두 배 뛰었다. 사진은 서울의 한 은행 대출 창구 앞. [연합뉴스 자료사진]

5대 은행의 가계대출이 1년 9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전체 대출 연체율까지 지난해의 약 두 배 뛰었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달 말 가계대출 잔액은 680조8천120억 원으로 집계됐다. 7월 말(679조2천208억 원)과 비교해 한 달만에 1조5천912억 원 늘었다.

5월 이후 4개월 연속 증가일 뿐 아니라, 8월 증가 폭(1조5천912억 원)은 2021년 11월(2조3천622억 원) 이후 1년 9개월 만에 최대 기록이다.

특히 최근 가계대출 증가세를 주도하는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8월에만 2조1천122억 원(512조8천875억 원→514조9천997억 원)이나 뛰었다. 2조 원대 주택담보대출 월별 증가액은 2022년 12월(2조3천782억 원) 이래 8개월 만에 처음이다.

5대 은행의 가계대출이 1년 9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전체 대출 연체율까지 지난해의 약 두 배 뛰었다. 서울 시내 한 은행에 붙은 주택담보대출 현수막. [연합뉴스 자료사진]
5대 은행의 가계대출이 1년 9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전체 대출 연체율까지 지난해의 약 두 배 뛰었다. 서울 시내 한 은행에 붙은 주택담보대출 현수막. [연합뉴스 자료사진]

8월 가계대출 급증에는 5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 논란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는 게 은행권의 분석이다.

우선 5대 은행의 5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 잔액이 7월 말 8천657억 원에서 지난달 24일 2조8천867억 원으로 2 조원 넘게 불었다.

더구나 이례적으로 이들 은행의 주택담보대출이 8월 25∼31일, 단 5영업일 만에 513조3천716억 원에서 514조9천997억 원으로 1조6천281억 원 급증했는데, 상당 부분이 50년 만기 상품 대출로 추정된다.

지난달 10일 당국이 5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을 최근 가계대출 증가의 주범으로 지목한 뒤 은행권은 스스로 50년 만기 상품에 '만 34세 이하' 등 연령 제한을 두거나 아예 잠정적 판매 중단 방침을 밝혔다.

여기에 같은 달 하순에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산정 기준 조정에 따른 50년 만기 상품의 실제 한도 축소가 임박했다는 소식까지 더해지면서 당장 필요하지 않은 주택담보대출 수요까지 몰렸다.

이달 말까지만 5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을 취급하겠다고 예고한 NH농협에서 지난달 25∼31일 주택담보대출이 5천82억 원이나 폭증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5대 은행의 7월 말 기준 단순 평균 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0.31%(가계대출 0.28%·기업대출 0.34%)로 집계됐다. 한 달 전 6월 말의 0.29%(0.26%·0.31%)보다 0.02%포인트(p) 높아졌다.

고정이하여신(NPL)비율도 한 달 사이 평균 0.25%에서 0.29%로 0.04%p 상승했다.

각 은행이 건전성 지표 관리 차원에서 6월 말 부실 채권을 집중적으로 상·매각을 통해 털어내면서 잠시 주춤했던 연체율 등의 오름세가 다시 시작되는 분위기다.

앞서 수년과 비교하면 5대 은행의 건전성 악화는 더 두드러진다.

지난해 7월 말 5대 은행 평균 연체율과 NPL 비율은 각 0.18%, 0.23%로 올해 같은 시점보다 각 0.13%p, 0.06%p 낮았다.

새로운 부실 채권 증감 추이가 드러나는 신규 연체율(해당월 신규 연체 발생액/전월 말 대출잔액)도 7월 말 0.08%로 1년 전(0.04%)보다 0.04%p 오른 상태다. 불과 1년새 지표가 거의 두 배로 뛰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 24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며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연합뉴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 24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며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연합뉴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달 24일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한 뒤 가계부채 문제에 대해 "가계부채가 연착륙하도록 노력하겠다"며 "규제 등 미시적 정책이 먼저고, 그다음이 거시정책이라고 생각한다. 지금은 (거시정책을 쓸) 상황까지는 아니라고 판단한다"고 밝혔다.

가계대출이 너무 많이 늘어나면 기준금리를 더 올릴 필요가 있지만, 경기 위축이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문제 등을 고려할 때 한은으로서는 쉽게 인상을 결정하기 어려운 입장이다. 

따라서 일단 문제 해결 주도권을 금융 당국에 넘긴 것으로 해석된다.

결국 실제로 당국은 지난달 은행권 등과 여러 차례 회의를 거쳐 5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 인터넷은행의 공격적 주택담보대출 영업 등을 가계대출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꼽고 해결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논의 결과로서 50년 만기 상품을 40년 만에 갚는 것으로 가정하는 새로운 DSR 산정 방식이 이르면 이번 주부터 모든 은행에서 시행될 전망이다.

한편 은행권에서는 당국이 8월 가계대출 지표를 최종적으로 확인한 뒤 가계대출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힌 만큼, 50년 만기 DSR 산정 기준 변경 외 다른 규제가 추가될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전국매일신문] 김지원기자
kjw9190@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