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21대 총선 물갈이 공언 지켜라
상태바
21대 총선 물갈이 공언 지켜라
  • 윤택훈기자
  • 승인 2020.01.06 14: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윤택훈 지방부 부국장 속초담당

6일 국회는 본회의를 열고 검경 수사권 조정을 위한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법안을 둘러싸고 또 격돌하면서 국민들에게 볼썽사나운 모습을 여전히 보여줬다.

국회는 늘 민의(民意)의 전당이 아닌 싸움터로 변질된 지 오래로 국민들로부터 비난을 받고 있지만 좀처럼 이들의 싸움질은 멈출 줄 모르고 있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6일 본회의를 기점으로 남은 개혁입법 완수에 다시 속도를 내겠다는 방침으로, 패스트트랙 법안 저지 입장인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과의 대치 국면이 재개되면서 새해 벽두부터 국민들의 눈에는 한심하게 비춰질 뿐이다.

이처럼 국회에서 대화와 타협이 사라지고 막말과 몸 싸움만 존재하면서 난장판 국회가 더 난장판이 돼가고 있다. 국회에서 벌어지는 한심한 작태를 바라보는 유권자들은 내년 총선을 앞두고 물갈이론이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이를 의식한 듯 여.야는 앞 다투어 내년 총선에 불출마 선언을 하는 현역의원들이 늘어나고 있지만 여전히 국민들의 눈높이에는 미흡할 뿐이다. 충분한 경쟁력을 갖추고 당선이 유력한 의원들이 과감히 불출마를 선언하는 마당에 존재감이 미약한 의원들은 당연히 재선을 보장할 수 없어 좌불안석일 것이다.

각 당은 인적 쇄신을 명분으로 내년 공천에서 현역 의원을 대거 갈아치울 태세다. 실천에 옮길지 미지수나 한국당은 현역의원 50% 물갈이를 공언했다. 덩달아 민주당의 물갈이 폭도 커질 듯하다. 각 당은 총선 때마다 경쟁적으로 물갈이를 실시했다.

17대 때는 전체 의석의 62.9%, 18대 44.5%, 19대 49.3%, 그리고 임기 만료를 목전에 둔 현 20대 국회는 44.0%가 초선 의원이다. 총선 때마다 예외 없이 40% 넘는 정치 신인들이 국회에 입성했다. 그럼에도 국회와 정치는 나아진 게 없다.

오히려 퇴보했다고 하는 게 정확한 진단이다. 역대 최악의 국회라는 평가를 듣고 있는 20대 국회를 보면 그렇다. 사람이 바뀌어도 정치와 국회가 바뀌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후진적 공천제도에 있다. 밀실에서 몇 명이 공직후보를 결정하는 우리의 공천제도는 선진국에선 유례를 찾아볼 수 없다. 아무리 물갈이를 해도 물이 곧 혼탁해지는 건 물의 문제라기보다 시스템에 문제가 있다는 말이다. 의원이 응당 있어야 할 곳은 국회다.

그럼에도 걸핏하면 국회를 박차고 농성 중인 당대표 주위를 배회하는 건 그가 공천권을 쥐고 있어서다. 상황이 이러니 당 의사에 반하는 행위는 정치적 자살행위요, 언제나 헌법적 가치보다 당론이 우선이다. ‘자기정치’가 사실상 불가능해 아무리 물갈이를 해도 그 나물에 그 밥인 거다. 한때 정치권에서 공천권을 당원이나 국민에게 돌려주자는 입법 논의가 있었다.

하지만 곧 흐지부지됐다. 대표를 비롯한 기득권자의 벽은 높았다. 정의당은 모든 공직후보를 당원투표로 선출한다. 누구나 수긍할 수 있는 객관적 방법으로 후보를 뽑으니 다른 당에선 흔한 공천파동 같은 뒤탈이 없다. 의원들이 대표 눈치보는 일도 적다. 중앙당이 공천권을 내려놔야 당을 위한 정치가 아닌 국민을 위한 정치가 가능하다.

각 당이 경선을 확대하는 건 바람직한 추세다. 그러나 전략공천이란 미명 하에 하향식 공천을 계속하는 한 줄세우기 정치는 필연이다. 선거제도 또한 국민의 의사가 보다 정확하게 반영되도록 개선해야 한다.

우리는 여러 선거제도를 경험했다. 단명에 그쳤으나 양원제도 해봤고, 대통령이 전체 의원의 3분의 1을 임명하는 유신체제, 1선거구 2인제와 원내 제1당이 비례대표(92석)의 3분의 2를 가져가는 5공화국 선거제도도 경험해봤다. 유신체제와 5공의 선거법은 집권당이 아주 손쉽게 과반 의석을 확보하도록 여당에 유리한 기울어진 운동장을 만들었다.

그 결과 김영삼·김대중 양김의 돌풍이 거세게 불었던 12대 총선에서 전두환의 민정당은 고작 35.2% 득표율로도 전체 의석의 53.6%(148석)를 가져갔다. 반면 신민당(29.3%)과 민한당(19.7%)은 49.0%를 득표하고도 102석에 그쳤다. 민의대로라면 12대 국회는 마땅히 여소야대 국회가 돼야 했으나 그러지 못했다.

이에 비해 현 선거제도는 민의 반영률이 현저하게 나아졌다. 헌법재판소 결정에 따라 선거구 인구 편차를 2대 1로 조정해 표의 등가성도 높였다. 비례성 또한 개선됐다. 그렇다고 민의 왜곡이 없어진 건 아니다. 현재 막판 진통을 거듭하고 있는 선거법 협상의 핵심도 비례성을 얼마나 인정하느냐에 있다. 4년 후 국회 모습이 지금과 다르려면 사람에 앞서 시스템을 바꿔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