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중수부 부활 최소한의 공론화 거쳐야
상태바
중수부 부활 최소한의 공론화 거쳐야
  • .
  • 승인 2015.12.30 14: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검 중앙수사부 역할을 사실상 대신할 검찰의 부패사건 전담 수사조직 윤곽이 구체화하고 있다. 법조계에 따르면 대검찰청 반부패부(부장 박정식 검사장)와 법무부는 전국 단위의 부정부패 사건을 수사할 신설 조직을 조만간 발족하기로 하고 인력을 비롯한 세부 사안을 조율하고 있다. 출범 시점은 다음 달 초를 염두에 둔 것으로 전해졌다. 비슷한 시기 단행될 고검 검사급 인사와 맞물린 사안이기 때문이다. 새 조직은 상설 기구가 아닌 태스크포스(TF) 형식을 갖춘다. 과거 저축은행 비리나 최근 방위사업 비리처럼 전국 단위의 부패 범죄를 수사할 때 인적·물적 자원을 집중 투입해 수사를 신속하게 마치는 역할을 한다. 지휘 및 보고 체계는 단순화된다. TF 팀장에서 대검 반부패부, 검찰총장으로 이어지는 '단선 체계'를 취할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중앙지검 특수부의 보고·지휘체계처럼 검찰청 내부 결재 라인과 대검의 지휘 라인이 얽힌 이중 구조로는 보안 유지나 수사 신속성에 한계가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평상시에는 최소 인력만 TF에 배치한다.
상설기구였던 대검 중앙수사부가 '하명 수사 논란' 속에 여야 합의로 폐지된 만큼 임시 조직의 외형을 갖춰야 논란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검사장이나 차장검사급 팀장 1명과 부장검사 1∼2명 정도가 TF에 파견될 것으로 보인다. 팀장은 방위사업비리 정부합동수사단장으로 방산 비리 수사를 총괄 지휘했던 김기동(51·연수원 21기·현 대전고검 차장) 검사장이 맡을 것으로 알려졌다. TF에서 범죄첩보 분석과 내사 업무를 할 검사의 수는 어느 정도로 잡을지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비상설 기구라는 점을 감안할 때 평상시 파견 규모는 5명 안팎에 그치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있다. TF를 설치할 기관은 서울고검이 유력시된다. 국가정보원 증거조작 사건과 '성완종 리스트' 의혹 등 대형 사건을 맡았던 검찰 특별수사팀들이 서울고검에 사무실을 두고 수사한 사례가 있다.
검찰은 중수부를 되살리는 게 아니라 '순기능만 복원'하려는 목적이라고 말하지만, 이런 주장이 액면 그대로 받아들여질 것 같지는 않다. 상설이 아니라는 점은 분명히 과거와 차이가 있지만 기능 면에서는 중수부와 어떤 점이 다른지 쉽게 납득이 가지 않는다. 오히려 꼼수로 볼 수도 있을 것 같다. 이것보다 더 큰 문제는 중수부가 여야의 합의로 폐지된 지 불과 3년도 채 안된 시점에 검찰 내부적으로 TF 설치가 추진되고 있는 것이다. 설사 검찰 주장대로 '중수부의 순기능'이 정말 필요하고 하루속히 되살려야 하는 실질적 이유가 있더라도 이렇게 일이 진행되는 것은 순리가 아니다. 최소한 공론화의 과정을 통한 검증의 절차는 거치는 게 맞다. 중수부가 폐지된 까닭은 정권의 입맛에 맞는 '하명 수사' 논란에 뿌리가 있다. 그런 폐해 때문에 중수부 폐지가 대선 공약이 됐고, 여야 합의로 중수부는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과거의 폐해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대책이 무엇인지 알 수 없는 상태에서 '기능 복원'부터 해야 하는지 설득력도 없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