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문제열의 窓] 기후위기 해결 노력, 더 이상 미뤄서는 안돼
상태바
[문제열의 窓] 기후위기 해결 노력, 더 이상 미뤄서는 안돼
  • 전국매일신문
  • 승인 2023.05.20 13: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제사이버대학교 특임교수 문제열

기후위기는 우리 시대의 가장 중요한 화두다. 지난 100년 동안 지구의 평균 기온은 산업화 이전 대비 약 1.1℃ 상승하였다. 과거 빙하기에서 간빙기(間氷期)로 변화되는 약 1만 년 동안 기온이 약 4~5℃ 상승한 것에 비하면 20~25배 빠르다. 너무나 빠르게 온난화가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1970년 이후 손실된 빙하 두께는 약 30m에 달한다. 해수면 상승 폭은 지난 10년(2013~2022)동안 연평균 4.62㎜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며 세계 곳곳에 이상기후가 나타나고 있다.

최근 몇 년간 동아프리카 지역에서는 비가 내리지 않아 역사상 최악의 가뭄에 시달리고 있다. 가뭄으로 남수단, 소말리아, 에티오피아, 케냐에서는 3천만 명에 이르는 사람들이 위험한 수준의 기아(飢餓)에 직면해 있다. 현재 이들 지역은 기아로 인해 48초마다 한 명이 사망하고 있다.

파키스탄에서는 지난해 5월 최고기온이 50℃를 넘는 이상고온 현상이 관측됐다. 6월부터는 3개월 가까이 폭우가 지속돼 대홍수가 났다. 평년대비 8배의 물 폭탄이다. 국토의 3분의 1이 완전히 물에 잠기며 거대한 바다처럼 변했다. 1100여명 이상이 사망했고, 800만 명 이상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가옥 약 100만 채가 부서졌고, 가축도 7200만 마리 이상이 죽었다. 경제적 손실액은 300억 달러가 훨씬 넘었다.

중국은 3월이 초봄인데 올해 대부분 지역에서 때 이른 여름철 고온 현상이 이어졌다. 지난 3월 6일 베이징과 상하이, 정저우 등 14개 주요 도시 낮 최고 기온이 20℃를 웃돌았다. 3월 상순 고온 현상은 예년 이맘때에 비하면 기온이 10℃ 이상 높은 기온 분포라고 한다. ​정저우 등 일부 지역에서는 30℃까지 올라가 초여름 날씨를 보였다. 역대 최고 기온을 기록했다.

미국 캘리포니아주는 1년 내내 화창한 날씨로 유명하다. 그런 지역이 최근 몇 년간 가뭄과 산불로 몸살을 앓고 있다. 지난 1월에는 겨울 폭풍과 함께 폭우가 쏟아져 19명이 사망하고 약 2600만 명이 홍수로 불편을 겪었다. 이어 2월에는 폭설이 내려 12명이 사망했다. 눈사태로 가옥과 상점이 묻히고, 도로가 차단돼 산악지대 여러 마을이 고립이 되었다.

이와 같은 기후위기는 석탄, 석유, 가스와 같은 화석 연료를 태울 때 발생하는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CO2)가 대기 중으로 방출된 데 따른 현상이다. 도시화, 산업화, 산림 훼손 등 환경파괴로 인한 메탄․아산화질소 등 온실가스배출이 증가하면서 더더욱 이상기후가 산발적으로 빈번해 지고 있다.

이산화탄소 농도가 가파르게 상승하기 시작한 것은 산업혁명 이후다. 이들 영향은 지구온난화를 가중시켜 유례없는 가뭄, 폭우, 폭설, 고온, 한파 등으로 이어지면서 식량생산과 생물의 다양성 손실에 치명적인 피해를 준다. 2021년 기준 23억 명의 인구가 식량 위기를 겪고 있다. 뿐만 아니라 자연재난으로 인명과 재산피해, 사회 경제적 손실은 상상을 초월한다.

기후위기는 누군가가 갑자기 해결해 주지 않는다. 기후위기 문제는 우리가 가능한 만큼 실천하고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삶이 지속가능하기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다. 목표를 정하고 그것을 달성하기 위해 지원과 역량을 적극 투입하는 전환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아직 준비가 되지 않았다.’, ‘재정적으로 부담이 된다.’,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는 변명으로 차일피일 미루거나 소극적으로 대응해서는 안 된다.

탄소중립이행은 전 세계 모든 국가의 문제다. 화석연료의 사용을 지양해 이산화탄소 배출을 저감시켜야한다. 전기차나 수소차 등 친환경 에너지 사용 체계를 사회 저변에 확산시켜 나가야한다. 개인생활에서 일회용품 사용 줄이기, 가정에서의 전기사용 절감 등에 동참해 탄소 배출 줄이기에 적극 나서야한다. 특히 우리 농업도 화학비료와 농약 등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친환경농업으로 중점 육성해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해야한다. 친환경농업이 가진 역할을 확대하지 않고서는 탄소중립 실현은 요원할 수밖에 없다. 친환경농업의 확대는 지구를 살리고,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미래의 먹거리를 담보하는 일인 만큼 정부의 인센티브 전략이 필요하다.

​[전국매일신문 칼럼] 문제열 국제사이버대학교 특임교수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