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칼럼] 1인 가구 1,000만 시대, 맞춤형 주거·복지 정책 새 틀 짜야
상태바
[칼럼] 1인 가구 1,000만 시대, 맞춤형 주거·복지 정책 새 틀 짜야
  • 전국매일신문
  • 승인 2024.04.15 10: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근종 작가·칼럼니스트

전국의 1인 가구가 지난달 처음으로 1,000만 세대를 돌파해 전국의 5가구 중 2가구가 혼자 살아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안전부 홈페이지 ‘행정동별 주민등록 인구 및 세대 현황’에 따르면 ‘행정동별 세대원수별 세대수’가 올해 3월 말 전국 전체 세대는 2,400만 2,008세대인데 이 중 1인 세대 수는 1,002만 1,413세대로 그 비중은 41.75%로 역대 최고치다. 지난 2월 말 전국 전체 세대는 2,396만 2,497세대였는데 이 중 1인 세대 수는 998만 1,702세대로 그 비중은 41.65%인 것에 비하면 한 달 새 무려 3만 9,711세대나 늘어나 괄목할 만한 증가세다. 4인 세대가 갈수록 줄어들고 혼자 사는 세대가 급증하고 있음을 명확히 확인해 주는 수치다.

연령대별 1인 세대는 60∼69세가 185만 1,705세대로 가장 많았고 이어 70대 이상 고령 1인 가구가 198만 297세대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그다음이 30∼39세 168만 4,651세대, 50∼59세가 164만 482세대로 뒤를 이었다. 지역별로는 인구가 많은 경기도와 서울시가 1인 가구 수도 다른 지역보다 많았다. 경기도가 225만 1,376세대, 서울특별시는 200만 6,402세대 순으로 많다. 1인 가구 10명 가운데 4명 이상이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에 거주한다는 의미다. 성별로는 남자가 515만 4,408세대, 여자가 486만 7,005세대다. 반면 4인 세대는 403만 386세대로 지난해 3월 417만 6,516세대보다 3.5% 감소했다. 이는 4인 세대가 가파른 속도로 줄어들고 있다는 해석이다. 이렇듯 4인이상 다인 가구가 급속히 줄어들고 1인 가구 1,000만 시대가 본격 도래한 만큼 연령대별, 성별, 지역별 맞춤형 주거·복지 정책이 절실한 시점이다.

이렇듯 1인 가구의 증가는 청년층과 60대 이상의 고령층에서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실정이다. 행정안전부 인구 통계 자료에 따르면 1인 세대는 지난해 3월 981만 7,789세대였는데 올해 3월 말 기준 1,002만 1,413세대로 1년 만에 20만 3,624세대나 증가한 것이다. 2020년 3월에는 860만 4,128세대였으므로 4년 만에 무려 16.4%인 141만 7,285세대나 늘어났다. 반면에 4인 세대는 갈수록 줄어드는 추세다. 10년 단위 연령별로 살펴 봤을 때 가장 많은 1인 세대 수를 차지한 세대가 60대이지만, 한 연령층에서 전체 대비 1인 세대가 차지하는 비중은 30대(25.6%)가 60대(24.0%) 보다 오히려 더 크다. 따라서 1인 세대를 구성하는 주 연령층이 청년층과 60대 이상 고령층에 집중돼 있다는 의미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혼자 사는 70대 이상 고령층이다. 고령층에서는 가정 해체와 사별 등으로 독거를 감내해야 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이처럼 1인 가구의 이유는 연령, 성별, 지역에 따라 다양하고 복잡하다. 따라서 정부가 정책을 수립할 때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대목이 아닐 수 없다. 70~100세 이상 고령층의 경우 혼자 사는 사람이 198만 3,661세대에 이른다. 전체 1인 세대 중 70대 이상 고령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19.7%로 거의 5명 중 1명꼴이라는 해석이다. 혼자 사는 고령층이 가장 두려운 것으로 ‘고독사’의 문제다. ‘고독사’는 ‘가족·친척 등 주변 사람들과 단절된 채 사회적 고립 상태로 생활하던 사람이 자살·병사 등으로 임종을 맞고, 시신이 일정한 시간이 흐른 뒤 발견되는 죽음’을 말한다. 지난 1월 29일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1인 가구 9,471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발간한 ‘2022년 고독사 예방 실태조사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고독사 위험군이 78.8%로 집계됐다. 국내 1인 가구 5명 중 4명이 ‘고독사 위험군’이라는 것이다. 그 중에서도 50~60대 중·장년 남성의 고독사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는 지난 2016년 전체 가구의 27.9%인 539만 8,000세대였으나 2022년 34.5%인 750만 2,000세대까지 늘었다. 

직접적인 비교 가능한 동기간의 통계가 없어 아쉽지만, 고독사는 지난 2017년 2,412명에서 2021년 3,378명으로 5년간 평균 8.8% 늘었다. 남성 고독사는 연평균 10.0%씩 늘었고, 나이별로는 60대가 평균 18.5%씩 늘어났고 지난해 상반기에만 고독사로 숨을 거둔 것으로 추정되는 사람 수는 2,658명에 달한다. 2019년 한 해에 무연고 사망자가 2,656명인 것을 감안하면, 4년 만에 2배가량 늘어난 통계도 있다. 고독사가 증가하는 원인으로 가장 먼저 지목되는 것이 1인 세대 증가에 있고 다음으로 사회적 관계 단절·경제적 빈곤, 중·장년을 위한 돌봄 체계가 부족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나타나는 병리 현상으로 분석되고 있다. 서울특별시 ‘무연고 사망자’도 2020년 659명에서 2021년 856명, 2022년 1,072명, 2023년 1,218명으로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다. 갈수록 3인 이하 가구는 늘어나고, 4인 이상 가구는 줄어드는 경향이다. 핵가족화가 심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추세를 감안하면 앞으로 우리 사회의 고령화가 가속화 할수록 1인 가구 비중은 더욱 커질 것은 너무도 당연하고 분명하다. 1인 세대 증가는 사회적, 경제적 변화를 야기한다. 

무엇보다도 노령층 맞춤 건강 돌봄, 외로움을 극복할 사회관계 형성 프로그램 보급, 범죄로부터 안심 등의 불안 해소책이 화급하다. 따라서 1인 가구에 특화한 분양·임대 주택을 늘리는 등 젊은 층을 조준한 맞춤형 주거정책 수립은 물론 경제적 어려움과 건강 문제, 노후 의료비 부담 해소. 사회적 관계망 부족과 고립에서 기인한 고독사 해결, 돌봄 체계 구축 등 고령층을 겨냥한 맞춤형 복지 정책의 주도면밀한 새 틀을 서둘러 짜야만 한다. 

[전국매일신문 칼럼] 박근종 작가·칼럼니스트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